[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한약사회는 2차 수가협상에서 회원들의 어려운 사정을 건보공단 협상단에 피력하는 한편,궁극적인 약국계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밴드 총량 확대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한약사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수가협상단과 24일 서울 당산 소재 국민건강보험공단 스마트워크센터에서 2차 수가협상(2025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협약)을 진행했다.

2차 수가협상 후 기자들과 만난 대한약사회 박영달 협상단장<사진>은 "가장 중요한 것은 밴드총량이다. 그래서 공단측에 가입자들을 설득해서 전체 밴드 총량을 확대될 수 있도록 힘을 쏟아달라고 요청했다"며 6개 유형 단체들이 저마다 환산지수 인상을 요청하고 있는 상황에서 약국계 인상률을 높일 수 있는 근본 방안을 밴드규모 확대로 본 것.

박영달 단장은 회원들의 어려운 사정에 대해 설명했다. "지난해, 올해 약국 행위료는 증가했다. 하지만 증가된 것 만틈 비용도 굉장히 많이 지출됐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쉽게 말해서 총 진료비 중 약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77% 정도고, 나머지 23%는 조제료다. 이 부분에 카드 수수료가 발생하는 것은 이해가 된다. 그런데 마진도 없는 약값 77%에 대해서 카드 수수료를 내야 하는 것은 문제가 있지 않냐"고 반문했다.

또 "조제료라는 것을 상대가치점수에 녹여내기 어렵고, 반영할 수 있는 메커니즘도 현재는 없는 상황이다. 그래서 이러한 부분을 공단에 이해시키기 위해 노력했고, 공단측에서도 이해했다는 답변을 들었지만 이 부분이 실제로 얼마나 반영될지는 미지수"라고 했다.

약가 인하로 인한 약국 피해와 물가, 인건비 상승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박영달 단장은 "약가가 인하되면, 약국에서는 반품 서류를 통해 어느 정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보통 온라인으로 구매하는 경우에는 몇 년 전에 구입한 온라인몰을 찾아서 반품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결국은 재고를 떠안게 되는 것이다"며 "인건비 등도 굉장히 늘어났다. 약사회 자체 조사에도 나왔지만, 심평원 데이터를 봐도 인력지수가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 같은 약국계 상황이 이번 수가협상에서 반영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