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실적발표 내용에 따르면, 이 회사 올해 상반기 혈액제제류 매출액은 18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2.4% 감소했다.
매출 하락세에 전체 매출 비중도 소폭 감소했다. 메디파나뉴스가 이 회사 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상반기 혈액제제류 매출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약 3%p(포인트) 감소한 23.3%로 나타났다. 또 2022년 상반기 매출 비중 23.9%보다는 0.6%p 낮았다.
같은 시기 GC녹십자는 ANHUI GREEN CROSS PHARMACEUTICAL과 혈액제제를 포함한 완제품 수출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계약금액은 6161만달러이며, 계약기간은 2026년 12월 31일까지다. 이 회사는 계약금액이 계약상 단가 및 최소 구매 수량에 근거했다며, 계약 상대와 합의에 따라 변동 가능하다고 밝혔다.
혈액제제류 매출은 미국 시장에서도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GC녹십자는 지난 2분기 및 상반기 실적 발표 자료를 통해 알리글로가 미국 시장에 본격 진출했다며, 혈액제제 사업 부문에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했다.
지난달에는 알리글로 초도 물량을 출하했으며, 익스프레스 스크립츠 등 미국 내 처방약급여관리업체(PBM)와 계약을 통해 미국 보험사 처방집(Formulary) 등재를 완료했다. 처방집 등재는 알리글로가 미국 의료보험 급여 체계에 이름을 올렸다는 걸 의미한다.
미국 법인(GC Biopharma USA)을 중심으로 핵심 유통채널인 전문 약국(Specialty Pharmacy)과 계약도 완료했다. 보험사 계열 및 대형 독립 전문 약국과 투 트랙(Two-track) 계약으로 연간 판매 물량을 확보했다.
회사는 PBM, 전문 약국, 유통사 등 수직 통합채널 추가 계약으로 미국 시장 공략을 이어갈 계획이다. 또 면역글로불린 수요가 많은 곳에 알리글로를 우선 배포하고, 연 내 미국 50개 주 전역으로 판매 영역을 넓힐 예정이다.
GC녹십자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규모가 가장 크지만 그동안 진입하지 못한 미국 시장 진출에 국내 기업 최초로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를 출시하는 건 의미가 크다"며 "알리글로는 향후 기업 성장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우진 GC 바이오파마 USA 대표도 자신감을 드러낸 바 있다. 이 대표는 올해 초 당사 오창공장 팸투어에서 "면역글로불린 유통 채널 약 50%를 점유 중인 전문 약국을 통해 알리글로를 공급한다"며 "많은 영업 인력이 필요 없고 성분명 처방 비율이 높아 신규 진입이 유리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그러면서 "올해 알리글로 매출액을 연결 기준 5000만달러로 예상하고, 매년 50%를 상회하는 성장률을 달성해 미국 진출 5년 차인 2028년엔 약 3억달러 규모로 매출액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