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광훈 회장은 2일 서울시 서초구 대한약사회관 대회의실에서 출입기자 간담회를 열고, 1일 개최한 '한약사 문제 해결 촉구 전국 임원 결의대회' 이후 이어질 약사회의 한약사 문제 대응에 대한 대담을 진행했다.
이번 결의대회는 최광훈 집행부가 집권한 이후 세 번째로 전국의 임원이 모인 결의대회다. 앞서 최광훈 집행부는 화상투약기,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의약품 배달 이슈와 관련해 결의대회를 진행했고, 이후 해당 문제들이 더 확대되지 못하도록 막아낸 바 있다.
최광훈 회장은 "이번 한약사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보건복지부에서 이렇다 할 반응이 없는 상태"라며,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약사 문제 해결의 최종 목표는 법 개정이지만, 법 개정에 대한 절차 등은 결코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 이에 식약처로부터 한약제제를 구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되는 답변을 얻은 일, 한약사가 운영하는 약국 61곳에 대한 행정처분이 내려진 일과 같이 식약처와 복지부를 통해 처리할 수 있는 부분부터 하나씩 이뤄가겠다는 전략이다.
최 회장은 "대한약사회가 복지부에 요구하는 것은 지난해 복지부 장관이 국정감사에서 '항히스타민제, 경구 피임약은 한약사의 면허 범위에 들어간다고 볼 수 없다'는 발언에 대한 답변"이라면서 "대한약사회는 이후 해당 내용에 대해 수시로 답변을 요청했으나 아직까지 답변이 오지 않았다. 해당 발언이 국정감사에서 시작된 만큼, 적어도 직접 언급한 약사화 한약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국정감사 전까지 해답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또한, 최 회장은 대한약사회가 진행 중인 CI(Corporate Identity) 리뉴얼이 약사와 한약사를 구분하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새로 리뉴얼한 CI를 약국 간판이나 가운 등에 어떻게 표시해 활용할 것인지를 세밀하게 정해서 적용한다면 약사와 한약사의 구분을 명확화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약사가 개설한 약국과 한약사가 개설한 약국을 구분할 수 있도록 BI(Brand Identity) 작업도 진행 중이다.
최 회장은 이번 결의대회를 진행한 계기에 대해 "사안이 있을 때는 적극적으로 대처를 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에 진행된 결의대회에 이어 격렬한 시위가 다시 이어질 것인지는 아직 미정"이라며 "오는 4일 지부장회의를 통해 논의하는 내용을 잘 종합한 뒤 한약사 문제 해결을 위한 행동을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