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언론 보도에 따르면,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현안 브리핑을 통해 "의료 공백 상황에 대한 국민 불안을 해소하고 지역·필수 의료체계 개선을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제안했다.
4자가 함께 머리를 맞대 의료 현장 진료 서비스를 정상화하면서 의대정원 증원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자는 의도다.
한동훈 대표는 "많은 분과 논의하면서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봤다. 이제 모두가 모여서 얘기하고 불안을 해소할 때가 되지 않았느냐"면서 "야당이 반대하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2026년 의대정원 증원 규모를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는 "합리적 대안을 찾자다는 것이다. 여러 의견이 논의될 수 있다"고 답했다.
또 '대통령실과 사전에 조율됐느냐'는 질문에는 "대통령실에서도 공감하는 사안으로 안다"고 밝혔다.
대통령실도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된다. 언론 보도에 따르면, 대통령실은 6일 2026년도 2000명 증원에 대한 조정도 할 수 있으며, 4자 협의체 구성도 가능하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진다.
의료계와 야당까지 참여해서 논의한다면 제로베이스에서 모든 검토가 이뤄질 수 있다는 입장도 확인된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기자회견에서 "과학적 근거에 의해서 합리적 수요 추계를 제시하면 열린 마음으로 검토하겠다고 여러 번 얘기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실무를 맡고 있는 복지부 역시 마찬가지다. 조규홍 장관은 이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2026년 정원은 의료계에서 합리적인 안을 제시하면 논의가 가능하다고 저희가 일관되게 말씀드려왔다"고 설명했다.
관건은 야당과 의료계다.
우선 야당은 받아들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4일 고대안암병원을 찾은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2025년도 의대 증원 문제는 상당하게 진척이 됐기 때문에 되돌릴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는 것 같다. 다만 2026년도 증원 문제는 시간적 여유가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면 정부와 야당이 터놓고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의료계는 불투명하다. 이번 4자 협의체는 2026년도 의대정원 증원에 대한 논의를 위한 것이지만, 의료계는 2025년도 의대정원 증원부터 조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