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SNS를 통해 여야의정 협의체 출범 의지를 다시 강조했다.
한 대표는 먼저 추석 연휴 기간 의료계 인사를 개별적으로 만나 입장을 듣고 협의체 참여를 당부했다며 소통에 주력하고 있다는 점을 내비쳤다.
특히 의료상황은 시간으로 해결될 수 없는 문제란 인식도 공유했다. 시간이 지나면 더 어려워질 것이 분명하며, 국민 건강과 생명이 더 위험해 질 것이란 설명이다.
따라서 해결책을 찾기 위한 노력과 대화가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대표는 "그렇기 때문에 지금 해결책을 찾기 위해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단번에 해결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대화 말고 다른 해결책은 없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연휴 기간 만난 의료계 인사들에게 여야의정 협의체에서 전문가로서 해법을 국민에게 직접 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하며, 정부·야당엔 더 적극적이고 유연한 입장을 당부했다.
그는 "'우리는 불편하고 불안하다. 일단 여야의정 대화를 시작하라. 거기서 어떻게 해서든 해결하라'는 것이 국민들의 마음이라 생각한다"며 "그 마음을 따르자"고 강조했다.
이처럼 한 대표가 소통과 대화 시작을 강조했지만, 협의체 핵심 당사자인 전공의들은 유감을 나타냈다.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은 SNS를 통해 국민의힘 정광재 대변인 언론 인터뷰를 공유하며 한동훈 당 대표와 국민의힘에 다시 한번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정광재 대변인은 지난 13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 한동훈 대표가 박단 비대위원장과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고 언급했다. 정 대변인은 "당대표 당선 이후 박단 비대위원장을 비공식적으로 만나고 의료 상황이 복잡하고 그대로 있다가는 의료 불상사가 날 수 있겠구나라는 위기의식을 가졌다"며 "이후로도 비공식 채널을 통해 박단 비대위원장과 줄곧 소통해오고 있고 읍소 수준의 이야기를 전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단 비대위원장은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두 차례 만남을 거절한 바 있고, 비공개 만남 이후론 소통한 적 없다는 것이다.
박 비대위원장은 "당 대표 출마 전인 6월 초에도, 당선 직후인 7월 말에도, 언론에선 대화가 중요하다 강조하던 한동훈 당 대표는 지속적으로 만남을 거절했다"며 "읍소는 커녕, 단 한 번 비공개 만남 이후 대한전공의협의회는 한동훈 당 대표와 소통한 적 없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거짓과 날조 위에 신뢰를 쌓을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