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수 대한의사협회 기획이사는 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 이 같은 시각을 제시했다.
임 기획이사는 지난 8개월 동안 정부를 짝사랑하는 기분이었다고 표현했다. 정부를 믿고 싶었지만 대응에 상처받고, 기대를 갖다가도 다시 상처받는 상황의 연속이었다는 설명이다.
임 기획이사는 "전세기로 환자를 실어 나르겠다는 등 어떻게 이렇게까지 모욕할 수 있는지 믿기 힘든 현실이었고, 6개월만 버티면 이긴다는 소리를 하는 걸 보며 어떻게 국민을 상대로 기싸움을 하는지 실감이 나지 않았다"면서도 "그런 와중에도 복지부 장관님이 미안하다고 사과하시는 말씀을 보면서 믿고 싶었지만, 며칠 뒤 장상윤 대통령실 수석님이 '안타까워서'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고 정정해 주셨다. 이제는 많이 체념했다"고 토로했다.
임 기획이사는 이런 상황에선 복귀를 고려하는 전공의는 없을 것 같다고 내다봤다.
의정 대화 역시 회의적인 시각으로 봤다. 의정 합의를 무시한 것은 물론 의료계와 대화 시도도 협의체 추진과 동시에 내부에서 차단하는 등 대화하자는 정부 설득력이 의문스럽다는 입장이다.
임 기획이사는 대화를 위해선 정부 입장 정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대화하자는 입장과 대화 시도조차 차단하는 입장이 공존하는 것 같다는 이유에서다.
임 기획이사는 "정부가 진정성을 보여주려면 내부에서 태클을 거는 사람부터 좀 빠져야 하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직 전공의 선생님들은 수련받고 전문의가 됐을 때 전문가로 존중받고 소신껏 진료할 수 있고 의사로서 살아가는 보람이 느껴진다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복귀할 것"이라며 "다만 지금 돌아가는 꼴을 보면 굉장히 회의적"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