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장은 24일 의협 출입기자단 인터뷰에서 임 회장 탄핵 국면에 대한 시각을 공유했다.
김 의장은 먼저 임현택 집행부가 의료계 대표 단체로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대표적 사례로 최근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대한 의협 입장문을 들었다. 당시 의협은 '일말의 우려감 속 응원의 뜻을 전한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 스탠스가 뭔가. 찬성이면 찬성 반대면 반대를 확실히 밝혀야 하지 않나"라며 "이런 스탠스로 인해 전공의들이 받아들일 수 없고 대의원회도 거부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의료계가 원팀이 돼야 한다는 점을 수차례 강조했다. 의협과 전공의를 비롯한 젊은 의사가 갈라진 상황에선 정부나 국회와 대화도 결론도 무의미하다는 설명이다. 대화를 시작하거나 결론을 내도 한쪽이 반대하면 무산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갈라진 의협과 젊은 의사를 한 팀으로 만드는 게 사태 해결 출발점이자 최소한의 조건으로 봤다.
김 의장은 이런 맥락에서 임 회장이 박 비대위원장과 대립 구도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점은 치명적 실책이라고 지적했다. 박단 비대위원장을 '어떻게든' 돌려세우지 못한다면 임총에서 대의원 판단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다.
김 의장은 "임총 전 박단 위원장을 구워 삶든 사정을 하든, 결국 해결은 회장이 하는 것이지 박단 위원장이 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임 회장이 결정을 하고 대의원에게 어떻게 할지 보여줘야 한다. 지금 상황에서 그냥 전화를 받지 않는다고 끝내면 임총에서 그에 대한 판단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임 회장에게 마지막 기회가 될 것이란 시각도 내비쳤다. 전공의와 관계를 개선하지 못한다면 집행부 스스로 '결단'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김 의장은 "집행부에 있는 전공의 이사는 정관상 의협 산하단체인 전공의 단체 비대위를 대변할 수는 없다"며 "전공의 비대위와 관계 개선을 할 수 없다면 집행부 스스로 결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 의장에 따르면 임총은 내달 10일 개최가 유력한 상황이다. 임총 발의안을 받으면 이번 주말 동의 시점 등 유효성을 확인한 뒤 다음주 운영위원회를 열어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