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특정 단체를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 참여에 맞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1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국내 비대면진료 중개 플랫폼 1위 기업인 닥터나우는 최근 앱 공지사항을 통해 정부 주관 비대면진료 정책 개선 설문 참여 독려에 나섰다.
비대면진료 설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도하고 있다. 지난 12월 9일부터 오는 20일까지 비대면진료 서비스 품질 및 안전성에 관한 대국민 설문조사다.
과기부는 "비대면진료의 서비스 품질 및 안전성에 관해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며 "조사 결과는 비대면진료 규제 체계 개선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설문항목엔 사용 여부를 비롯한 ▲만족도 ▲처방 적절성 ▲개인 정보 보호 신뢰성 ▲비대면진료 의료 사고 발생 시 책임 소재 ▲개선 사항 등이 포함돼 있다.
이 가운데 닥터나우는 ▲약 배송 금지 ▲한시적 24시간 비대면진료 ▲일부 의약품 비대면 처방 제한(비만치료제, 향정신성의약품) 등 현재 비대면진료 정책을 언급하며, 정책 개선을 위한 참여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6일부터 비대면진료를 통한 비만치료제 '위고비' 처방 제한에 나선데다 비대면진료 한시적 허용도 언제 끝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또 약 배송 문제도 중개 플랫폼 업계로선 반드시 풀어야 할 숙제인 만큼, 공론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약사사회가 조직적으로 비대면진료 대국민 설문조사에 참여하고 있다는 점도 플랫폼 업계로선 부담이다. 자칫 여론조사 결과를 왜곡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기되기 때문이다.
실제 연제덕 제34대 경기도약사회장 당선인은 지난 9일 보도자료를 내고 "우리 약사 회원들이 디지털공론장에 가입, 설문에 적극 참여해 비대면진료 제도에서 약 배달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비대면진료 플랫폼 업체들로 구성된 원격의료산업협의회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원산협은 지난 10일 입장문에서 "조사가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일부 단체의 조직적 참여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면서 "설문조사 이후 국민과 산업계, 의약계에 대한 오프라인 의견 수렴 절차가 추가로 마련된다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담보되는 여론 수렴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개 플랫폼 업계 한 관계자도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특정 단체가 조직적으로 대응하는 건 설문조사 결과를 심히 왜곡시킬 수 있다"며 "균형감 있는 여론 수렴 절차가 이뤄져야지만 공론화에도 탄력이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과기부와 복지부는 비대면진료 제도화에 앞서 이번 대국민 설문조사를 반영하겠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