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의협회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한의사협회 제43대 김택우 회장 취임식'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택우 회장은 취임사를 통해 "전대미문의 의료 농단 사태에 대한 해결을 위해 회원들이 지지해 준 것으로 생각한다. 대한의사협회는 명실공히 의료계 종주 단체이자 대표 단체다. 그러나 근래에 대한의사협회의 위상과 권위는 크게 약화됐다. 이렇게 된 것은 정부가 의료계 목소리를 도외시하는 문제도 크지만 의협 스스로 제 역할을 잘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더 이상 이대로는 안 된다. 대한의사협회가 의사들의 대표 단체임을 다시 한 번 우리 스스로 위상과 권위, 존재감을 일으켜 세워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저와 43대 집행부는 현 사태를 해결하고 대한민국 의료환경 정상화를 위해 전력하겠다"며 "여전히 정부와 여당은 사태 해결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 없이 후속 조치에 불과한 전공의 수련 입용 특례 방침을 내세우고 이미 실패했던 여야의정협의체를 재개하고자 말한다. 분명히 밝히지만 현 상태로는 의학교육이 도저히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정부 스스로가 인정하고 2025년 의대 교육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임시방편이 아닌 제대로 된 의학교육의 마스터플랜을 제시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또 "정부가 사태 해결과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뚜렷한 계획과 명확한 방침을 내놓아야 의료계 역시 2026년 의대정원 문제를 비롯한 의대교육 계획 역시 논의하고 대화할 수 있음을 다시 한 번 말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택우 회장은 "전체 의사 의원과 모든 직역과 지역을 아우를 수 있는 임무를 수행해 임기를 마친 뒤 진정으로 회원을 위했던 회장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의료사태뿐만 아니라 임기 중 예측 불가능한 의료계의 난제들을 마주하더라도 전 회원의 총의를 모으는 합리적 과정을 통해 슬기롭게 헤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대의원회 김교웅 의장은 축사를 통해 "올해부터 좀 안심해도 된다고 느낀 것은 취임식장에 들어왔을 때 김택우 회장과 함께 젊은 의사들이 함께 있는 모습이 좋았다. 앞으로는 무엇보다도 젊은 의사들이 그들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고, 그런 의견들이 충분히 반영되고, 그런 것을 정부에도 반영할 수 있길 바란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의료사태로 인해 세계 최고의 의료 수준이 1년 만에 망가졌다. 이를 다시 세울 대한의사협회 김택우 회장와 집행부, 그리고 젊은 의사들이 다시 돌아와서 희망을 가지고 일 할 수 있고 앞으로의 꿈을 꿀 수 있는 그런 나라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한편, 이번 취임식에는 의협 집행부와 임직원들을 비롯해 의협 대의원회 김교웅 의장, 한미애 부의장, 의협 임인석 대표 감사, 임경태 감사, 서울시의사회 황규석 회장, 한국여자의사회 홍순원 회장, 의료정책연구원 안덕선 원장,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대위장 등이 참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