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의사들이 의정갈등 해결 적임자로 김택우 후보를 꼽았다. 젊은 의사와 신뢰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김택우 신임 회장 선출은 의료계 분열 우려를 배제하고 단결을 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8일 의협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제43대 의협 회장선거' 결선투표 개표식을 개최했다.

개표 결과, 기호 1번 김택우 후보가 1만7007표, 60.38% 지지로 당선됐다. 결선 맞대결에서 1만1150표, 39.62% 지지를 받은 주수호 후보를 5847표 차이로 크게 따돌렸다.

이번 선거 결과엔 후보 개개인 장단점에 더해 의료계 분열이 재연되는 것을 우려하는 민심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압도적 지지율로 당선된 임현택 전 회장의 경우 젊은 의사를 이끄는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갈등을 빚으며 의료계 목소리를 하나로 모으는 데 실패했다. 대정부 투쟁 최전선에 선 전공의와 의대생 지지를 얻지 못한 의협 행보는 힘을 얻지 못했고, 대표성 논란이 커지며 끝내 탄핵으로 이어졌다.

김 신임 회장 당선은 이 같은 우려를 사전에 불식하고 전공의·의대생과 한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되는 의미를 갖는다.

김 신임 회장은 지난해 2월 의대증원 저지 비상대책위원장을 수행하며 박단 비대위원장과 신뢰 관계를 구축해왔다. 앞서 김 신임 회장은 지난해 비대위 참여를 망설이는 박 비대위원장에게 '사직 전공의 아버지로서 전공의 뜻을 존중하고 함께 풀어나갈테니 지켜보라'고 약속하고 전공의 포용을 위해 노력했고, 신뢰를 형성하게 됐다.

한목소리를 낼 수 있게 된 의협회장으로서 김 신임 회장이 낸 일성은 '정상화를 위한 노력'이다. 투쟁을 우선순위로 내세우진 않았지만, 스탠스는 강경하게 가져갈 전망이다.

김 신임 회장은 당선 소감을 통해 의대정원 문제는 정부가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2025학년도 의대 교육이 가능한가에 대해 정부가 교육 플랜을 제시해야 다음을 논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투쟁이 모든 것을 해결해 주는 것은 아니란 입장도 밝혔다. 단 정부가 의료계를 마지막 코너까지 몬다면 선택지는 투쟁밖에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앞서 김 신임 회장은 회장 후보자 합동설명회에서도 같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현장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하는 정책을 끌고온 것은 정부인 만큼,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한 뒤 의대정원을 재논의하잔 스탠스를 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 태도 변화가 없을 경우엔 회원 총의를 모아 방향을 설정하겠다고도 밝혔다.

김 신임 회장은 "대한민국 국민 건강을 위해 달려가는 폭주기관차 기관사가 하차한 상태로, 모든 상황이 비정상화돼 있다"며 "폭주하는 기관차를 모든 사람이 멈출 수 있도록 정상화를 위해 다같이 지혜를 모아야 할 시기"라고 강조했다.

김 신임 회장은 9일(오늘)부터 곧바로 회장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