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위원회는 국내 바이오 분야 정책을 결정짓는 최고위 거버넌스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같다. 다만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대통령 직속 기구라는 점에서, 국무총리 직속 기구인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보다 더 큰 의미를 갖고 있다.
또 위원 대다수가 다른데다, 국가바이오위원회에서 민간위원 비중이 현저하게 커졌다는 점은 극명한 차이라고 할 수 있다.
23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국가바이오위원회 민간위원 명단에 따르면,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이사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 ▲김영태 서울대학교병원 병원장 ▲김법민 고려대 바이오의공학부 교수 등 6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앞서 구성됐던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도 민간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다.
특히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부위원장을 맡았던 김영태 원장이 국가바이오위원회에서는 위원을 맡았고, 반대로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 위원 신분이었던 이상엽 특훈교수는 국가바이오위원회에서 부위원장을 맡았다.
김영태 원장과 이상엽 특훈교수는 나란히 두 위원회에 위촉됨과 동시에 번갈아가면서 부위원장을 맡는 셈이 됐다.
노연홍 회장과 허은철 대표, 황희 대표, 김법민 교수 등이 두 위원회에 연달아 위촉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허은철 대표는 제약업계 내 여러 전통 제약사 대표 중에서도 유일하게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민간위원에 위촉된 데 이어 또 다시 국가바이오위원회에 위촉돼 눈길을 끌었다.
이와 함께 노연홍 회장, 황희 대표와 김법민 교수 등은 비교적 활발한 대외 활동을 해왔던 데다, 업계 내에서 손꼽힐만한 입지를 갖추고 있다.
반면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이병건 지아이이노베이션 대표, 왕규창 의학한림원 원장 등은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민간위원으로 위촉된 것과 달리 국가바이오위원회에는 합류하지 못했다.
국가바이오위원회에서 민간위원이 24명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정부가 발표한 명단에 따르면, 국가바이오위원회는 40명 이내로 구성되며, 현재는 당연직 정부위원 12명, 민간위원 24명이 각각 위촉된 상태다.
현 구조로는 민간위원 수가 당연직 정부위원 대비 2배다. 비중으로는 65%를 넘는다.
이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 위원 30명 중 당연직 정부위원이 13명, 민간위원이 17명으로 구성됐던 것과는 차이가 있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에서도 민간위원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지만, 국가바이오위원회에서 민간위원이 차지하는 입지가 더욱 커진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