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규석 서울특별시의사회장은 6일 대한의사협회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통해 이같이 제언했다.
황 회장은 의협이 전공의·의대생이 받아들일 수 있을 사태 봉합 방안을 정부에 먼저 제안할 것을 요청했다. 정부 사과와 책임자 문책 등 기초적인 요구에 더해 ▲2026년 의대 모집 중단 ▲300명씩 5년간 감원 또는 500명씩 3년간 감원을 통한 2025년 증원분 1500명 상쇄안 ▲향후 기존 정원인 3058명 유지로 증원 중단 등 구체적 대안을 정부에 제안하고 협상에 나서달라는 것이다.
황 회장은 의협 내부에 대한전공의협의회와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의회가 참여해 '원팀'을 이루고 전공의·의대생 목소리를 반영할 수 있게 된 만큼 이들의 의견을 들어 협상을 진행하고, 만약 결론이 나온다면 전체 전공의·의대생 의견을 물어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황 회장은 "2월 안에는 가시화된 결과물이 있어야 한다. 결과물을 내지 못하고 시간을 허비한다면 탄핵과 보궐선거를 통해 만들어진 하나 된 의협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제안에 대한 이유로는 두 가지를 들었다.
먼저 전공의와 의대생이 사태 크리티컬 포인트를 앞두고도 여전한 불확실성에 지쳐가고 있다는 점이다. 전공의·의대생과 소통을 이어온 결과 사태 초기엔 단일대오가 확고했지만, 최근엔 불확실성에 지친 모습이 보인다는 것이다.
정부가 단칼에 거절하더라도 대전협과 의대협을 품은 의협이 명확한 안을 제시하고 대화를 시도하는 건 지쳐가는 단일대오에 바로미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란 시각이다.
황 회장은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쳐가고 동력이 떨어지고 정부와 똑같이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는 것보단 크리티컬한 포인트를 앞두고 의협 집행부가 노력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도록 부회장으로서 의견을 개진하고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는 국민 신뢰 측면이다. 설령 정부가 거절하더라도 정부와 의료계가 각자 마지노선을 정하고 서로 대안 제시만 요구하며 도돌이표를 그리는 상황에서 먼저 대화를 제안한다면 국민 입장에서 책임감 있는 집단으로 바라볼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황 회장은 "대전협과 의대협 요구를 받아 들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정부가 하지 않는다면 정부 책임"이라며 "그러나 의료계가 끝까지 참여하지 않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 데에선 변화해 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료계도 목소리가 많이 다르지만, 국민을 염두에 두고 국민과 같이 갔으면 좋겠다"며 "국민에게 공감받지 못하면 어떤 얘기를 해도 전달되고 실현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