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바이오메딕스(공동대표 강세일, 김동욱)는 망막손상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개발기술 특허(발명의 명칭: 줄기세포로부터 망막외곽층세포의 유도 생성 방법 및 그에 의해 생성된 세포를 포함하는 망막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가 일본에서 등록 결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본 기술은 망막의 주요 구성 세포이며 손상 시 시력 손상을 일으키는 망막색소상피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RPE)와 시각세포(Photoreceptor cell)를 동시에 만들어 이식할 수 있는 기술이다. 배아줄기세포나 유도만능줄기세포와 같은 전분화능줄기세포로부터 두 가지 세포를 분화 및 생산할 수 있다. 이번 일본 특허 등록결정과 더불어 국내를 비롯해 미국, 유럽, 캐나다, 중국, 러시아, 호주, 인도, 홍콩 등에서 등록 심사가 진행 중이다.

망막색소상피세포 또는 시각세포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질환은 노인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망막색소변성증(Retinitis pigmentosa), 추체-간체이영양증(Cone-rod dystrophy, CRD) 등이 있다. 이러한 망막세포들은 손상 시 자발적으로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병이 진행됨에 따라 시력을 점점 잃어가다가 결국에는 실명에 이르게 된다. 환자수가 가장 많은 노인성 황반변성의 경우 연령에 따른 발병빈도가 급격히 증가하며 60세 이상 인구 5명 중 1명 빈도로 유병률이 보고되고 있어 고령화 사회로 갈수록 환자수는 더욱 급증하는 질환이다.

질환의 원인이 되는 손상 세포가 분명하고 세포이식을 위한 경로가 비교적 덜 위험하기 때문에 현재 임상연구가 활발한데, 대부분은 분화된 망막색소상피세포만을 이식해주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에스바이오메딕스의 기술은 망막색소상피세포 이외에 시각세포도 동시에 분화 및 생산이 가능한 기술로 망막손상 치료의 핵심이 되는 두 가지 주요 구성세포들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들과 차별화된다.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파킨슨병, 척수손상, 중증하지허혈 등 난치성질환 치료를 위한 세포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으로, 향후 글로벌 임상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역량을 넓히기 위한 전략을 실행 중이다. 이번에 등록 결정된 기술은 기존 파이프라인들에 감각계질환 파이프라인을 추가할 수 있는 기술로 향후 사업분야 및 시장성을 확장하기 위한 기반을 확보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에스바이오메딕스 연구소장 조명수 박사는 "현재의 기술을 바탕으로 3D 및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을 접목해 보다 차별화되고 유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개발되는 기술은 글로벌지적 재산권 권리확보를 통해 경제적 가치를 높이고 시장을 선점해 나가고자 한다"고 계획을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