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장봄이 기자] 미국 트럼프 정부가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을 시행하면서, 바이오 기술 분야에서 중국을 포함한 외국 기업과 투자 거래를 어느 범위까지 제한할 지 주목된다. 특히 바이오 기술이전 거래에 있어서 상당 부분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5일 한국바이오협회 경제연구센터 등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이라는 제목의 각서에 서명했다. 이 정책은 특정 전략 산업에서 '적대국'과 관련된 투자를 모두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정책에서 외국의 적대국으로 중국을 전면에 두고 있으며, 이 외에 이란과 쿠바, 북한, 러시아, 베네수엘라 등이 포함됐다.

또한 특정 전략 산업에는 헬스케어와 바이오 기술이 포함돼, 중국 기반 기업이 헬스케어를 포함한 특정 전략부문에 투자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법적 장치를 하도록 미국 정부에서 지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은 바이오 기술을 포함해 중국의 민군융합 전략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해외 투자에 '새로운 제한'을 예고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미국 전문가들은 바이오 기술이전 거래 제한과 바이오 스타트업 설립 제한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미국 제약전문지 피어스파마에 따르면, 법무법인 모건루이스 파트너는 라이센싱 거래가 일종의 투자로 간주될 경우 미국 바이오 제약사들이 인라이센싱을 위한 중국 후보 약물을 대거 잃을 수 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미국 빅파마들이 기술이전 계약으로 확보한 후보물질 3분의 1이 중국 바이오기업에서 왔는데, 이러한 거래가 끊길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중국 자산을 기반으로 미국 바이오 스타트업을 설립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뉴코' 모델이 떠오르고 있는데, 중국 제약사가 특정 자산을 분사하고 투자자와 파트너십을 맺어 미국에 기반을 둔 회사를 만드는 것에 제한을 둘 수 있다는 전망이다.

바이오협회는 "미국 우선주의 투자 정책이 기술이전을 투자로 간주할 지 등 투자 정의에 따라 미국 바이오분야 인바운드와 중국으로 아웃바운드 투자 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