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은 11일(현지시간) 트루스소셜에 미국 내 처방약 및 의약품 가격 인하 계획을 발표하며, 12일 오전 9시(미국 동부시간 기준)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할 뜻을 밝혔다.
그는 이번 결정을 통해 "세계 각국의 의약품 가격이 조정돼 가격 형평성이 확보되고, 미국이 최초로 공정한 가격으로 의약품을 공급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혜국 규정(Most Favored Nation Policy)' 도입을 약속했다. 이 규정은 미국이 전 세계에서 가장 낮은 가격을 적용받는 국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약품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의약품 가격 인하 이유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약가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오랫동안 국제 사회는 미국 내 처방약 및 의약품 가격이 왜 다른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나"면서 "동일한 회사가 동일한 공장과 연구소에서 제조한 동일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5배에서 최대 10배까지 차이가 나는지 의문을 제기해 왔다. 이는 매우 난감하고 설명하기 어려운 문제"라고 꼬집었다.
그 원인으로 제약회사들이 연구개발(R&D) 비용을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중이라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약회사들은 수년간 연구개발(R&D) 비용을 명분으로 내세우며, 그 부담을 오직 미국 국민들이 감당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면서 "정치 자금이 많은 것을 가능하게 했지만, 저와 공화당은 결코 그러한 영향력에 휘둘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이번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은 상당한 비용 절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국민들은 합리적이고 공정한 가격으로 의약품을 제공받게 되며, 국민 의료비 부담은 과거 상상할 수 없었던 수준으로 대폭 절감될 것"이라며 "연방정부의 재정 측면에서도 수조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