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대한병원장협의회가 전공의와 의대생의 복귀를 위해 정부가 먼저 '명분'을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전 정부의 강경 대응을 군사정권에 비유하며, 새 정부는 실질적인 단절과 원점 재검토를 약속함으로써 정상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고 강조했다.

병원장협의회는 27일 성명서를 내고 "복귀의 문은 전공의와 학생이 여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먼저 열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성명서에 따르면 2024년 이전 우리나라 의료는 세계가 주목한 위대한 시스템이었지만 취약했던 의료 시스템의 민낯이 드러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환자들에게 돌아갔다. 협의회는 이 당시 정부의 강공으로 전공의들이 이탈하면서 의료는 사망 통계까지 흔들릴 만큼 일대 혼란에 빠졌다고 표현했다.

그러면서 협의회는 학교와 병원을 떠난 학생과 전공의들의 심정을 "무척 괴로웠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협의회는 "책을 놓고 환자 곁을 떠나는 것은 결코 가벼운 일이 아니었고, 겁박과 엄포를 쏟아붓는 정부를 상대로 협상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이었을 것"이라고 짚었다.

이에 병원장협의회는 새 정부에 어떤 계획도 학생과 전공의 없이는 실현될 수 없으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돌아올 수 있는 길을 마련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전임 정부의 대응 문제도 거론됐다. 전공의들을 '처단'의 대상으로 규정한 지난 정권이 보여준 태도는 마치 1980년대 군사정권 시절의 백골단과 구사대를 떠올리게 했다는 설명이다.

협의회는 "이번 정부가 전공의 '처단'이라는 문구가 완전히 종식됐음을 선언한다면, 학생과 전공의들이 돌아갈 계기가 마련될 수 있다"며 "그 선언은 형식에 그쳐서는 안 되고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협의회는 정부가 구체제와의 단절을 분명히 하고 모든 것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약속한다면, 학생과 전공의는 제자리로 돌아갈 충분한 명분을 얻게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협의회는 "의사가 의사로서 의업에 헌신할 수 있는 세상, 학생이 학생답게 꿈꿀 수 있는 세상, 전공의가 전공의답게 수련할 수 있는 세상, 개원의가 지역 의료에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세상, 교수가 학문과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세상을 다시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