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소아비만'을 전문 진료로 내세우는 개원가의 움직임이 뚜렷하다. 의원 간판이나 홈페이지에 '소아비만'을 전면에 내건 곳이 늘고 있으며, 보호자 대상 문자 발송이나 전용 클리닉 운영도 활발하다. 최근에는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일반 소아청소년 진료에 비만 상담이 포함되는 흐름도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늘어나는 임상 수요와 맞물린다. 소아비만은 단순한 체중 문제가 아닌 성인기 대사질환과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으며, 학업 성취도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보호자들의 경각심도 커지고 있다.

정책 기조 역시 달라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소아비만 국가책임 확대'를 공약하며, 질병으로의 명확한 분류와 함께 학교·공공의료기관 내 상담·관리 체계 구축, 국가비만관리 종합대책 수립을 제시한 바 있다.

이를 뒷받침할 근거도 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소아청소년의 비만 진료·관리를 위한 적극 개입 전략 마련 연구'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동아시아 주요국 중 가장 높고 증가 속도도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과 농촌 지역 아동에서 비만율이 두드러졌으며, 정상체중 비율은 줄고 과체중·비만 비율은 꾸준히 늘었다.

보고서는 현 제도가 병적 비만이나 합병증이 발생한 이후에야 의료 개입을 허용하는 구조라고 진단하고, 조기 개입과 일차의료 중심 전략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장도 이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비만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위고비'는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12세 이상 청소년 대상 적응증을 승인받았고, 노보 노디스크는 국내 식약처에도 관련 허가를 신청한 상태다. 국내 급여 적용 여부는 미정이지만, 치료 대상이 넓어질 경우 개원가 중심의 진료 수요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소아비만이 생활습관 교정, 가족 상담, 학교 연계 등 복합적 개입이 필요한 질환인 만큼, 접근성과 연속성이 강점인 개원가가 치료 기반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구조적 뒷받침 없이 진료만 늘고 있다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소아비만 진료는 인력·수가·정책 인식 면에서 모두 제도적 한계에 직면해 있다는 것이 의료계의 지적이다.

비만 진료 경험이 있는 의사들은 주요 장애 요인으로 ▲소아청소년 당사자의 낮은 질환 인식과 의지 ▲비만 상담 수가 부재 ▲보호자의 인식 부족 등을 꼽았다.

이 가운데 '의료수가 마련'은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과제로 거론됐다. 수가 지원이 없을 경우 상담시간 확보는 물론, 지속적인 개입도 어렵다는 게 공통된 반응이다.

정책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려면 진료 현장의 현실적 여건을 뒷받침하는 구조가 우선돼야 한다. 소아청소년 비만 진료와 관리에 적절한 수가가 확보되면 상담 시간 확보는 물론, 진료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관련 인력과 인프라 구축에도 도움이 된다. 의료기관과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데에도 수가는 핵심 수단이 될 수 있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진료 수요는 많지만 소아비만은 아직도 '비만한 아이' 정도로 취급된다"며 "의사가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수가나 인프라가 없으면 진료 확대도 결국 보여주기식에 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