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셀트리온이 미국향 수출 의약품 관세 리스크 해소를 위해 미국 원료의약품 기업 인수에 나선다.
29일 셀트리온 서정진 회장은 온라인 기자간담회에 나와 "미국 원료의약품 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에 대한 독점 교섭 확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어 "기본적으로 미국 정부가 메이드 인 USA를 원한다면 미국 제품으로 판매를 하겠다"라며 "셀트리온이 미국 판매를 하는데 있어 불확실성을 없앨 것"이라고 말했다.
서 회장은 미국 현지 생산체계 구축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 목적으로, 6개월 전부터 미국 원료의약품 cGMP 생산 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 검토를 진행해왔다고 했다.
그 결과 미공개 글로벌 기업과 현지 생산시설을 보유한 기업 인수에 대한 독점 교섭 확약 체결을 통해 최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는 것.
셀트리온이 인수를 추진 중인 공장은 미공개 글로벌 의약품 기업이 보유한 대규모 원료의약품(이하 DS) cGMP 생산 시설이다. 미국 내 주요 제약산업 클러스터에 위치하고 있다.
해당 시설은 수년간 항암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등 주요한 바이오의약품을 생산해왔다.
서 회장은 이에 따른 구체적인 인수 시점도 밝혔다.
그는 "10월 첫째 주까지 우선계약협상을 하도록 명시돼 있다"며 "(공장 인수에 대한) 미국 승인까지 해서 연내 시설을 100% 인수해 우리가 경영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인수 자금과 운영 자금까지 더해 투입되는 자금은 총 7000억원 규모가 될 것이라 했다. 인수 후 공장 확충까지 나선다면 미국 내 생산시설 규모는 셀트리온 송도 2공장 1.5배 수준이다.
이와 함께 확정 실사(Due Diligence) 이후 공장 인수가 마무리되면, 미국 의약품 관세 리스크를 한꺼번에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서 회장은 "미국이라는 시장은 포기하기엔 너무 큰 시장"이라며 "진입 장벽이 높지만, 투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종 인수 절차가 마무리될 경우, 미국에서 판매 중인 주력 제품들을 현지에서 바로 생산할 수 있어 해당 제품들에 대한 의약품 관세를 완전히 회피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또 현재 해당 cGMP 시설 50%는 CMO 계약을 통해 피인수 회사의 바이오의약품을 5년간 독점 생산할 수 있어 인수 후 바로 수익 창출이 가능할 거라 봤다. 해당 독점 생산 규모만 해도 수천억 규모라는 게 서 회장의 설명이다.
서 회장은 "(이번 공장 인수를 통해) 관세 리스크는 거의 헷지 됐다고 말씀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