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김성근 대변인. 사진=박으뜸 기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대생들의 학업 복귀와 전공의 수련 재개 논의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의학교육과 수련 대책이 조속히 마련돼야 대한민국 의료의 정상화가 이뤄질 수 있다"며 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지원을 호소했다.

대한의사협회 김성근 대변인은 31일 정례브리핑에서 "최근 의대생들의 학업 복귀와 전공의 수련 재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어려운 시기를 참고 견뎌주신 국민들을 비롯 학사 정상화를 위해 힘써주시는 학장님과 교수진, 대학 관계자들께도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의협은 훌륭한 의사가 배출되어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다각도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중단됐던 교육과 수련의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한 범사회적 관심과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날 브리핑에서는 의대생·전공의 복귀 이슈와 함께, 비대면 진료, 공적 전자처방전송시스템 등 최근 의료계 현안에 대한 대응 방침도 소개됐다.

김 대변인은 "의협은 국민의 건강권과 민감정보 보호를 기준으로 각종 의료 이슈에 대응하고자, '주치의제 대응 TF'와 '비대면진료 및 공적전자처방전 대응 TF'를 각각 발족했고,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특히 비대면진료와 공적전자처방전은 기술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돼 있는 만큼, 의협은 두 제도 모두에 대해 공통된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과거에는 복지부도 개인정보 보호와 시스템 미비를 이유로 전자처방전 도입에 반대했으나, 지금도 그 우려는 여전하다"며 "환자의 민감정보 유출 가능성을 여전히 지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의협은 여러 의료계 단체들과 마찬가지로 현재 추진되는 제도들이 의약분업의 기본 정신을 훼손할 수 있다는 데 공감하고 있다"며 "기술 발전이나 편리성을 앞세워 의료·진료의 본질에 접근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국민의 건강권과 의료의 진료권의 기준을 벗어나는 접근은 경계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의협은 환자의 민감정보를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국민의 건강권과 의료의 진료권을 어떻게 명확히 구분하고 보호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의대생 복귀를 둘러싼 '사과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대해 김 대변인은 "학생들에 대해서는 의협이 이미 송구하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사과를 요구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조심스러운 입장도 전했다.

김 대변인은 "의대생은 환자를 직접 보는 위치에 있던 사람들이 아니다. 무엇보다 이번 사태를 촉발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를 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