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준호 싸이티바 APAC 총괄사장. 사진=최인환 기자
최준호 싸이티바 APAC 총괄사장. 사진=최인환 기자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이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에서 22개국 중 3위를 차지했다. 2023년 지수에서 세계 12위, 아시아 3위였던 한국은 2025년 지수에서 9단계 상승하며 22개국 중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이뤘다.

싸이티바는 16일 강남 코엑스에서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 기자 간담회'를 열고, 글로벌 제약·바이오 산업 트렌드 및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글로벌 생명과학 기업 싸이티바가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산하 리서치 기관인 롱지튜드(Longitude)와 공동으로 2년마다 발표하는 산업 보고서다. 2021년 시작, 올해로 3번째를 맞이했다. 전 세계 22개국의 주요 제약, 바이오 기업 경영진 및 전문가 1250명이 ▲공급망 회복력 ▲인적 자원 ▲R&D 생태계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 및 규제 ▲지속가능성 등 6개 분야에 대해 평가한 내용을 바탕으로 국가별, 항목별 지수를 도출함으로써 제약·바이오산업의 경쟁력과 트렌드를 볼 수 있는 업계 유일한 글로벌 정기 보고서다.

2025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에 따르면 전 세계 평균 산업 지수는 10점 중 5.96으로, 2023년 지수 6.08에서 소폭 하락했다. 공급망 회복력은 개선된 반면, 인적 자원, 제조 민첩성, 정부 정책 및 규제는 여전히 업계의 주요 과제로 꼽혔다. 특히 디지털 기술 활용, 정부 정책 지원 및 규제 혁신 노력, 지속가능성 투자 등이 향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인으로 지목됐다.
 

자료=싸이티바 제공
자료=싸이티바 제공

국가별 순위에서 한국은 스위스, 영국에 이어 3위를 기록했다. 아시아 지역에선 1위로, 싱가포르와 일본이 그 뒤를 이었다. 국내 전문가들이 대외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국 제약바이오산업에 대해 긍정적 평가와 확신을 가진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의 순위 상승에는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의 개선이 큰 역할을 했다. 정부의 바이오 인재 양성 정책과 학계·연구기관 기업 간 협력이 인재 기반을 강화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동시에 정부의 R&D 투자 확대 및 디지털 기술 통합, CRO/COMO 협력 증대는 글로벌 임상시험 수주 역량을 높이고 R&D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최준호 싸이티바 아태지역 총괄 사장은 "글로벌 제약·바이오산업 지수는 업계가 직면한 도전과 기회를 파악하는 중요한 지표로, 차세대 의약품을 임상 단계로 앞당길 전략적 파트너십을 마련하는 데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제공한다"며 "한국이 인적 자원과 R&D 생태계 투자를 개선해 2023년 세계순위 12위에서 올해 3위로 도약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성과다. 싸이티바 역시 내년 새로 개관하는 이노베이션 허브를 비롯한 다양한 투자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