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비전 2030 실현을 위한 제3차 혁신포럼'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실현을 위한 제3차 혁신포럼'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최인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이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를 위한 중장기 청사진을 제시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창립 80주년을 맞아 17일 개최한 '제약바이오 비전 2030 실현을 위한 제3차 혁신포럼–글로벌 진출 가속화 전략 토크콘서트'에서 산업계·정책·학계·연구기관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논의했다.
(왼쪽부터) 박주민 국회의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사진=최인환 기자
(왼쪽부터) 박주민 국회의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사진=최인환 기자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개회사에서 "제약바이오 산업은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미래 세대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국가적 핵심 자산"이라며 "고부가가치 일자리 창출과 수출 확대를 견인하는 성장동력으로서 경제 전반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공정한 생태계 조성, 연구개발 투자, 규제과학 확립, 인재 양성, 글로벌 협력 등 주요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이어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은 "팬데믹을 통해 K-제약바이오가 글로벌 무대에 이름을 올렸지만 이제는 진정한 도약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글로벌 진출은 단순한 기업 성장 차원을 넘어 국가 경제의 미래와 직결된 과제"라고 밝혔다. 그는 "연구개발 지원·규제 개선·오픈이노베이션 촉진을 핵심 축으로 정부·국회·학계와 협력해 글로벌 진출 과정의 비용 부담과 규제 장벽을 함께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 이관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미래비전위원장. 사진=최인환 기자
(왼쪽부터) 김열홍 유한양행 사장,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 이관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미래비전위원장. 사진=최인환 기자

토크콘서트 형식으로 진행된 이번 포럼에서 유한양행 김열홍 사장은 "글로벌 블록버스터 없이 후속 신약 개발은 불가능하다"며 오픈이노베이션 전략을 통한 신약개발 성과 확산을 강조했다. 그는 "렉라자를 비롯해 글로벌 임상과 허가를 동시에 추진 중이며, 국내 벤처기업들이 자금과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만큼 대형 제약사가 전문성을 공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우 GC녹십자 개발본부장은 "알리글로의 미국 허가 과정에서 세 번의 실패 끝에 품질관리(CMC) 역량으로 돌파구를 열었다"며 "국내 기업의 가장 큰 취약점은 품질과 규제 대응"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연구 초기부터 전주기 품질관리(QbD)를 적용하고, 파트너 선정 시 영업력보다 규제역량을 우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전윤종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장은 "바이오산업은 제품의 품질과 가격을 정부가 정하는 유일한 산업"이라며 "R&D 투자 비중을 최소 20%까지 늘려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의 CDMO 사례를 언급하며 "제조 기술력, 신뢰할 수 있는 글로벌 파트너십, AI 기반 연구가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관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미래비전위원장은 협회의 '비전 2030'을 통해 "해외 매출 비중을 25%에서 50%로 확대하고 글로벌 톱50 제약사 5곳을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산 신약의 수출 비중은 아직 미미하지만 블록버스터 신약 개발과 M&A 확대를 통해 산업 규모를 키워야 한다"며 "정부가 제약바이오를 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펀드 조성과 인재 양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정토론 모습. 사진=최인환 기자
지정토론 모습. 사진=최인환 기자

이어진 Q&A 세션에서는 관세·임상·규제 현안이 집중 논의됐다. 이에 협회는 "한미 협상 결과 일본·EU와 유사한 15% 수준의 최혜국 대우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으며, 전윤종 원장은 "정부 펀드를 통한 임상 2·3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재우 본부장도 "식약처가 단순한 인허가 기관을 넘어 신약개발의 파트너로 기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