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이현우 제약바이오협회 상무. 사진=조후현 기자
[메디파나뉴스 = 조후현 기자] 제약·바이오업계가 여당 국회의원들과 긴급 회동을 갖고 미국 의약품 관세 부과와 관련해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를 전했다. 당장 내달부터 부과한다고 발표한 관세에 대한 행정 명령도 없는 상황 속 부과 기준과 범위, 시점 등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당부가 나온다. 여당은 적극 협조를 약속했다.

박주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은 30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함께 트럼프 정부 의약품 관세 부과 대응 관련 산업계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날 간담회는 박 위원장 제안으로 마련돼 민주당 김윤 의원과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이현우 상무와 박지만 상무,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GC녹십자 등에서 참석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우리 산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정부나 국회가 해야 할 일은 없을지 말씀을 듣고 싶어 청하게 됐다"며 "말씀주신 내용을 정부에 전달할 건 전달하고, 국회에서 예산이나 법률로 챙겨야 할 부분이 있으면 챙기는 작업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업계가 짚은 우려는 불확실성이다. 업체별로 나름의 대응을 하고 있지만 불확실성이 큰 점이 가장 우려된다는 것이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매출 90%가 넘는 대부분이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여러 가지 준비도 많이 하고 있는데,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점이 제일 걱정되는 부분"이라고 언급했다.

지난 25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 SNS를 통해 언급된 내달 1일 관세 100% 부과 조치는 전날인 오늘까지 행정명령도 없는 상황이다.

제약바이오협회 이현우 상무는 "25일에 트럼프 대통령이 10월 1일부터 브랜드 특허 의약품에 대해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 발표했는데, 아직까지 아무런 행정 명령도 없어 현실화될지 의문인 상황이다. 조만간 조치가 있지 않을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국회에 우선 관세부과 기준과 범위, 시점 등에 대한 명확한 확인이 필요하다는 점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브랜드 의약품 관세 15% 상한 ▲필수의약품은 브랜드·오리지널 제품이라도 미국 내 안정적 공급망 강화를 위해 관세 대상에서 제외하는 방안 ▲현지 완제품 공장에 대해 투자하지 않더라도 미국 원료 공장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통해 현지 고용 창출 등에 기여했다면 해당 품목은 관세를 면제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박주민 복지위원장은 간담회를 마친 뒤 "파악되는 내용을 빠르게 소통해 불확실성을 없애드리면서 신속하게 판단하실 수 있도록 돕겠다는 말씀을 드렸다"고 언급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