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수출 기업 5개사로는 SK바이오팜, 삼성바이오로직스, 롯데바이오로직스, 대웅제약, 셀트리온 등이 선정됐다.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 주재로 진행된 이날 간담회는 미국 관세 부과 동향에 따른 기업들의 애로사항 청취를 통해 실질적인 정부의 기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지난 25일(현지시간) 美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10월 1일부터 미국 내 제약공장을 짓고 있거나 착공중이지 않는 한 의약품에 100% 품목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언급했다.
정부는 관세 피해기업들의 경영 안정화를 위해 13조6000억원의 긴급 경영자금과 역대 최대 270조원의 무역보험을 공급하고, 물류비 지원을 3000만원에서 6000만원으로 2배 확대하는 등 수출바우처를 지원하고 있다. 또 해외 전시회·사절단 지원 대상을 확대하는 등 대체시장 개척에도 지원하고 있다.
또한 해외 진출 거점 구축 및 컨설팅 지원, 글로벌 마케팅 비용, 운송비 등 수출부대비용 지원, 오픈이노베이션 지원 확대 등 바이오헬스 산업 글로벌 진출을 위한 수출 특화 지원 예산을 내년도 정부안에 대폭 확대 반영(349억원)해 美 관세 부과 등 어려운 대외 여건을 겪고 있는 수출 업계를 총력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보건산업진흥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등 범부처 바이오헬스 분야 지원체계를 활용해 관세로 인한 피해사례 파악 후, 필요한 지원이 가능한 기관으로 기업을 연계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 관계자들은 미국 정부의 품목관세 부과시 기업 부담 증가, 수출 경쟁력 약화 등을 우려하며 미국 시장 진출 지원 확대 및 수출국 다변화 전략 지원 등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보건복지부 정은영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간담회에서 "美 정부의 관세부과확정시 우리 기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지원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사항을 적극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대외적인 위기속에서도 의약품 수출 호조세를 이어나갈 수 있도록, 민관이 협력해 관세 대응에 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