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CI 조형물. 사진=최성훈 기자
셀트리온 CI 조형물. 사진=최성훈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성훈 기자] 셀트리온이 ADC 신약 'CT-P73'에 대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했다. CT-P73 전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1상 임상시험 돌입한 것이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최근 CT-P73에 대한 국내 임상시험계획(IRB)을 승인받았다. 

관련 임상은 진행성 고형암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CT-P73 단독요법의 안전성과 내약성, 약동학, 면역원성 및 초기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1a/b 상, 최초 인체 적용, 공개 라벨, 용량 증량·용량 확장 임상시험이다.  

이를 통해 회사는 전임상 결과를 토대로, 첫 인체를 대상으로 한 CT-P73의 안전성과 적정 용량을 탐색할 예정이다. 임상기관은 고대구로병원과 서울아산병원, 서울대병원 등 3곳이다.

CT-P73은 암세포에서 많이 발현되는 특정 조직인자(Tissue Factor)를 타깃하고, 항체와 링커(Linker)로 연결한 페이로드(세포독성항암제)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방식의 ADC 치료제다.

셀트리온은 CT-P73에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국내 피노바이오와 공동 개발한 캄토테신(Camptothecin) 유래 신규 토포이소머라아제(TOP1) 저해제 페이로드 'PBX-7016'을 적용했다. 

TOP1 저해제는 DNA를 손상시켜 암세포를 사멸하고 확산을 억제하는 방식의 약물이다. 페이로드 PBX-7016은 앞서 공개된 셀트리온의 ‘CT-P70’과 ‘CT-P71’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앞서 회사는 지난 6월 열린 '월드 ADC 아시아 서밋'에서 CT-P73 전임상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전임성 결과에 따르면 이 후보물질은 낮은 독성 및 우월한 효능을 토대로 효능과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치료지수(Therapeutic Index) 측면에서 유의미한 수치를 도출했다. 

또 검증된 링커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우월한 약동학적 특성을 확인했다. 회사는 CT-P73을 투여했을 때 목표 주변 암세포까지 파괴하는 방관자효과(Bystander Effect)와 더불어 우수한 종양 내 침투(Tumor Penetration)를 나타낼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

회사는 CT-P73을 같은 기전의 치료제 중 가장 뛰어난 경쟁력을 갖춘 계열 내 최고(Best in Class) 항암신약으로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셀트리온은 오는 2028년까지 CT-P73을 포함한 ADC 분야에서 9개, 다중항체 분야에서 4개 등 총 13개의 후보물질에 대한 IND를 제출한다는 목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