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방역'을 내세우는 등 변화의 시도는 있었지만, 당장 코로나19 방역 전반을 총괄할 보건복지부 장관 자리가 오랜 기간 공석으로 이어지고 있어 우려가 겹치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증가하면서, 줄곧 1만 명 이하를 유지하던 일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7월 둘째 주 1만 8천 명을 넘어서며 사실상 코로나19 확산 국면에 따른 코로나19 '재유행'이 시작됐다.
이에 정부도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름철 재유행 대비·대응 방안'을 발표하고, 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코로나19 유행 국면에 나올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방역 정책이 '정치 방역'이라고 비판하며, 집권 100일 이내 코로나19 대응체계 전면개편을 공약으로 내 건 바 있다.
구체적으로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해 코로나19 병상 및 이송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불합리한 거리두기 기준을 개선하며, 코로나19 백신접종 피해자에 대한 국가책임제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이후 윤 대통령은 감염병 분야 전문가인 백경란 성균관대 의대 교수를 질병관리청장으로 임명했고, 전 국민 항체 조사 등의 계획을 밝히는 등 과학방역의 신호탄을 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보건의료 대응체계를 진두지휘할 보건복지부 장관 자리가 두 달 가까이 공석 상태로 유지되면서, 윤 대통령이 약속한 '과학 방역'이 어떻게 힘을 발휘할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구 코로나19 대유행을 막으며 역할을 수행해 온 정호영 전 경북대병원장이 낙마하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을 지낸 김승희 전 국회의원마저 자진사퇴하면서 세 번째 복지부 장관 후보자 임명에 난항을 겪고 있고 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는 두 차례의 복지부 장관 후보의 낙마로 섣불리 후보자를 지명하기 어려워 하는 분위기가 감지되며, 윤석열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두 번의 낙마 소식 이후 전현직 국회의원부터 행정 전문가, 권위있는 의료계 전문가까지 하마평은 무성하지만, 지난 4일 김승희 후보자가 사퇴한 후 일주일 째 후보자 지명은 감감 무소식이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응 첫 시험대인데, 복지부 장관이 공석인 점이 애석하다"며 "정호영 후보자에 대한 과도한 검증 등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을만한 검증된 의료계 인사들에게도 제안이 있었으나 고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