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조운 기자] 완화 국면에 접어들었던 코로나19가 재유행 조짐을 보이면서 집권 100일내 코로나19 대응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던 윤석열 대통령의 방역 정책이 시험대에 올랐다.

'과학 방역'을 내세우는 등 변화의 시도는 있었지만, 당장 코로나19 방역 전반을 총괄할 보건복지부 장관 자리가 오랜 기간 공석으로 이어지고 있어 우려가 겹치고 있다.

최근 국내 신규 확진자가 3만 명을 넘어서고, 오미크론의 새로운 하위 변이인 'BA.5'가 확산되면서 본격적으로 재유행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연일 증가하면서, 줄곧 1만 명 이하를 유지하던 일주일 평균 신규 확진자 수가 7월 둘째 주 1만 8천 명을 넘어서며 사실상 코로나19 확산 국면에 따른 코로나19 '재유행'이 시작됐다.

이에 정부도 1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름철 재유행 대비·대응 방안'을 발표하고, 대책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 첫 코로나19 유행 국면에 나올 대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방역 정책이 '정치 방역'이라고 비판하며, 집권 100일 이내 코로나19 대응체계 전면개편을 공약으로 내 건 바 있다.

구체적으로 '과학적 데이터'에 근거해 코로나19 병상 및 이송체계를 전면 개편하고, 불합리한 거리두기 기준을 개선하며, 코로나19 백신접종 피해자에 대한 국가책임제 등을 약속한 바 있다.

이후 윤 대통령은 감염병 분야 전문가인 백경란 성균관대 의대 교수를 질병관리청장으로 임명했고, 전 국민 항체 조사 등의 계획을 밝히는 등 과학방역의 신호탄을 쏘기도 했다.

하지만 이러한 보건의료 대응체계를 진두지휘할 보건복지부 장관 자리가 두 달 가까이 공석 상태로 유지되면서, 윤 대통령이 약속한 '과학 방역'이 어떻게 힘을 발휘할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대구 코로나19 대유행을 막으며 역할을 수행해 온 정호영 전 경북대병원장이 낙마하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을 지낸 김승희 전 국회의원마저 자진사퇴하면서 세 번째 복지부 장관 후보자 임명에 난항을 겪고 있고 있다.

용산 대통령실에서는 두 차례의 복지부 장관 후보의 낙마로 섣불리 후보자를 지명하기 어려워 하는 분위기가 감지되며, 윤석열 대통령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후문이다.

두 번의 낙마 소식 이후 전현직 국회의원부터 행정 전문가, 권위있는 의료계 전문가까지 하마평은 무성하지만, 지난 4일 김승희 후보자가 사퇴한 후 일주일 째 후보자 지명은 감감 무소식이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윤석열 대통령의 코로나19 대응 첫 시험대인데, 복지부 장관이 공석인 점이 애석하다"며 "정호영 후보자에 대한 과도한 검증 등으로 코로나19 팬데믹에서 제 역할을 할 수 있을만한 검증된 의료계 인사들에게도 제안이 있었으나 고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