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김원정 기자] 18일 대한의사협회가 예고한 총파업 당일, 세브란스병원과 서울성모병원은 평소와 다름없이 정상 진료가 이뤄졌다. 의협 총파업 및 궐기대회 참여는 의대교수 개별 의사에 맡긴 데 따른다.

같은날 메디파나뉴스 기자가 만난 세브란스병원 방문 환자는 "호흡기내과에서 평소와 다름없이 진료를 받았고, 다음 예약도 했다"고 말했다. 비뇨기과를 방문한 환자 역시 불편 없이 진료 및 예약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안석균 연세의대 비대위원장(정신건강의학과 교수)은 "(오늘 의대교수 휴진은) 의협 회원으로서 교수별로 결정하는 것으로, 비대위에서 얼마나 의대교수들이 휴진에 참여하는지는 따로 파악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앞서 결의문에서 밝힌 것처럼 정부가 현 의료 및 의대교육사태를 해결하는 가시적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27일부터는 병원의 필수의료를 뺀 모든 외래진료 및 비응급 수술과 시술에 대한 무기한 휴진을 진행한다"고 확인했다.

같은 날 서울성모병원도 의협 총파업에 따른 영향 없이 평소와 동일한 분위기 속에서 진료가 이뤄졌다. 각 개인 판단에 따라 화요일 진료를 맡은 일부 교수들이 휴가를 내긴 했지만, 병원 측은 정상적인 진료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서울성모병원 관계자는 "교수협의회에서는 18일 의협 총파업에 의사 개인 판단에 따라 참가토록 했고, 병원에서는 휴진하지 않는 것으로 방침을 정했지만, 휴가 여부까지 강제할 수는 없는 일이다. 오늘 진료는 평상시대로 문제 없이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환자와 보호자는 의대 교수 휴진이 집단적으로, 장기간 이어질 경우에 대해서는 우려를 나타내면서도, 정부에서도 이번 사태에 책임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세브란스병원에서 허리 수출 후 염증치료를 위해 방문했다는 환자는 "예전부터 세브란스병원을 다니고 있는데 나는 운이 좋게 수술을 잘 받았다"며 "그런데 휴진이 지속될 경우 환자들이 수술을 제때 못 받을 수도 있는 게 아니냐"며 우려를 표했다.

세브란스병원에서 소아암치료를 받고 있다는 한 환자 보호자는 "평소와 다름없이 진료를 받았지만 교수 휴진 시기가 길어진다면 영향이 없을지 걱정된다"라며 "의대증원을 일괄적으로 일시에 하는 것에 대해 의대교수들이 반대하는 입장도, 정부의 입장도 각각 이해되는 부분이지만 환자보호자 입장에서는 서로가 타협점을 찾아 조속히 사태가 해결되길 바란다"라고 했다.

서울성모병원을 방문한 한 환자 보호자는 "오죽하면 환자를 나몰라라 하겠나. 정부가 너무 의사 얘기는 들어주지 않고 몰아붙이는 게 분명히 있다. 파업하는 의사만 나쁘다고 할 수 없지 않나. 막무가내로 밀어붙여서 이 상황까지 만든 데는 정부 책임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