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삼진제약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삼진제약 오송공장 주사제동이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에 적합한 시설이라고 인증했다. 오송공장은 식약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규정 중 무균 의약품 제조 기준 요구사항을 반영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번 GMP 인증은 이 회사가 오송공장에서 주사제를 생산할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삼진제약은 향남공장에서 생산 중인 '삼진디아제팜주' 등 주사제를 품목 이전 허가 후 오송공장에서 생산할 예정이다.
이 회사 관계자는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GMP 승인 후 주사제를 곧바로 생산할 수 있는 게 아니라 품목 이전 허가를 거쳐야 한다"며 "품목 이전이 오래 걸리는 건 아닌데, 품목별로 이전 시기가 달라 특정 제품을 언제부터 생산한다고 말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이전 허가를 빨리 받은 품목부터 올해 내 생산에 들어가고, 다른 품목도 내년까지 순차적으로 이전해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할 것"이라며 "향남공장에서 생산하던 주사제는 모두 오송공장으로 이전한다고 보면 된다"고 덧붙였다.
삼진제약은 이같은 계획을 진행하기 위해 오송공장 시설 증축에 693억원을 투입한 바 있다. 2022년 공시에 따르면, 해당 금액은 EU-GMP급 주사제 라인 등을 구축하는 건축비 338억원과 기계장치 등 설비 도입 비용 355억원으로 나뉜다.
이 회사는 2021년 오송공장 시설 증축 계획을 밝히며 약 680억원(건축비 325억원, 기계장치 등 설비 도입 비용 355억원)을 사용하겠다고 설명했으며, 오송공장 증축 공사 완료를 앞둔 2022년 5월에 건축비 13억원을 늘리겠다고 공시했다.
삼진제약 분기보고서 따르면, 1분기 주사제 매출은 최근 3년간 상승세다. 올해 1분기 매출은 11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10.3% 증가했다. 지난해와 2022년 1분기 매출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1.6%, 61.4% 늘어난 103억원, 85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사제 1분기 매출만 상승한 건 아니다.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사제 매출은 2022년 대비 8.7% 증가한 409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과 2021년 주사제 매출은 377억원, 351억원으로 전년 대비 7.4%, 62% 늘었다.
한편, 삼진제약은 오송공장을 기반으로 해외 시장 진출 경로를 확대할 예정이다. 필리핀, 베트남 등 국가에서 유럽 등 다른 지역으로 주사제 수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오송공장 시설 증축 과정에서 무균 의약품 제조공정 가이드라인(EU GMP Annex1)을 반영한 바 있다. 최용주 삼진제약 대표이사는 최근 한 보도자료에서 "글로벌 인증을 통해 수출 판로 확보를 위한 역량도 발휘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회사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 건 아니지만, 주사제 품목 이전 등 작업을 정상화하고 내년부터 EU GMP 인증을 천천히 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