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0일 응급의료 일일 브리핑에 나와, 정부가 추진 중인 응급실 대응 역량 강화 정책에 대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을 추진한다.
총 136개의 지역응급의료센터 중 역량 있는 기관 15개 내외를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해 심정지, 뇌출혈 등 중증 응급환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의료기관에는 권역응급의료센터 수준의 건강보험 수가를 산정해 중증 치료가 가능한 지역응급의료기관의 대응 역량을 높인다.
정윤순 실장은 "9월 9일부터 지자체를 통해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을 희망하는 기관의 수요를 조사하고 있으며, 이번 주 내에 지정 절차를 완료할 예정"이라며 "많은 의료기관의 신청을 부탁드린다. 지정 절차가 완료되면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다시 말씀드리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응급의료센터가 충분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의사와 간호사를 합해 약 400명 정도의 신규 채용이 가능한 예산이 신속하게 지원된다.
중증·응급환자를 많이 수용하는 응급의료센터 또는 인력 이탈로 인해 진료 차질이 예상되는 의료기관 중에서 인건비 지원이 시급하게 필요한 기관에 우선적으로 지원한다.
정윤순 실장은 "추석 연휴 이후에도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시급하게 필요한 인건비 수요가 있으면 재정당국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지원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부연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이번 추석 연휴에 문 여는 의료기관과 약국에 대한 보상을 기존 공휴일 수가 가산율 30% 수준에서 50% 수준으로 인상한다.
정윤순 실장은 "지자체를 통해 신청을 계속해서 받고 있으니 이번 추석 연휴 기간 문 여는 의료기관으로 지정을 희망하는 병·의원은 조속히 추가 신청해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촉구했다.
다만 이같은 정책 확대 속에서도 의료개혁 완수에 대한 방침에는 변화가 없는 상태다.
정윤순 실장은 "현재 응급의료체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기존에도 있었던 문제다. 의료개혁은 응급의료를 비롯한 필수의료를 확충하기 위한 것"이라며 "필수의료에 종사하는 분들이 충분히 늘어나고 의료진이 긍지와 안정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피력했다.
이어 "정부는 앞으로도 오직 국민만 바라보며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한 의료개혁 완수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면서 "이번 위기를 딛고 우리 의료체계가 크게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