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임 회장 탄핵 국면에 대해 대화·협상 불안요소란 평가를 내놨다.
여야의정협의체 당사자로서 임 회장 탄핵 국면은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시각이다. 임 회장이 아닌 누구라도 대표로서 내부로부터 신임받지 못하는 상황은 협상 파트너로서 신뢰하기 어렵다는 이유다.
한 민주당 관계자는 "협상에 있어 대표가 신임받지 못하는 상황은 불안요소"라며 "논의가 진행되더라도 내부를 설득할 수 있을지, 신뢰 기반이 충분한지 의문이 남는 것은 긍정요소일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실질적으로 대표성을 따지자면 의협과 대전협에 있다. 의학회나 KAMC는 대표성은 있지만 사태 핵심인 전공의와는 거리가 있어 한계가 명확하다"며 "이대로 여야의정협의체가 시작되더라도 논의는 가능하겠지만, 원칙적 입장을 고수하는 전공의는 대표성을 지적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이같은 국회 입장은 임 회장 탄핵을 논할 대의원회 우려와도 같은 맥락이다.
지난 24일 김교웅 대의원회 의장은 의협 출입기자단 인터뷰에서 임 회장에게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과 관계 개선을 주문한 바 있다. 만약 '원팀'을 만들지 못한다면 스스로 결단해야 할 것이란 점도 강조했다.
김 의장이 원팀을 강조한 이유 역시 야당 우려와 같은 이유다. 의협과 전공의가 갈라진 상황에선 대화나 결론이 무의미해진다는 것이다. 한쪽이 반대하면 어떤 결론도 무산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조현근 대의원 역시 임총 소집 발의문을 통해 의협 대표성 부재를 문제로 제기한 바 있다. 조 대의원은 "의협 집행부는 학생과 전공의 뿐만 아니라 의사 회원들에게도 완벽히 신뢰를 잃었으며, 지금 의협은 사실상 지도부 공백 상태"라며 "하루빨리 집행부 책임을 물어 혼란 상황을 정리하고, 끝나지 않은 투쟁에 불을 지필 비대위 구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