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사진=이정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이정수 기자]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이 직접 국내 약가 정책에 대해 쓴소리를 냈다.

노연홍 회장은 6일 오전 열린 '한국제약바이오협회 2024 프레스 세미나'에 나와 인사말을 통해 "제약산업 성장을 위한 정부 여러 정책이 있음에도 그러한 보건산업 진흥정책이 약가정책과 부정합하고 있다. 이러한 산업계 현실은 미래 예측성을 떨어뜨리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상존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는 정부가 제약바이오산업을 핵심 전략산업,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목했음에도 약가와 같은 실질적인 지원을 위한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을 지적한 셈이다.

현재 정부는 사용량-약가 연동 협상, 사용범위 확대 약제 약가인하, 기등재약 상한금액 재평가, 기등재약 급여적정성 재평가, 실거래가 약가인하 등 여러 약품비 사후관리 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내년에는 해외 약가 비교 재평가를 통한 약가인하까지 또다시 예고하고 있다.

노연홍 회장은 "정부는 산업 육성 기조를 분명히 하고 있다.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했고, 바이오 시장 창출 전략 등 여러 육성 방안을 수립했다.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를 만들었고, 여러 지원 정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럼에도 "최근 들어서 투자 분위기도 매우 나빠져 있고, 각 기업들과 협회에서 열심히 한다고 하지만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가에 비해 아직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이 성장으로 나아가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노연홍 회장은 "국내에서 개발한 신약은 선진 시장에 진출하는 성과를 내고 있으며, AI 융복합, 글로벌 진출 다변화 등 산업 성장을 가속화하고 있다"며 "정부 정책 흐름에 맞춰 신기술과 관련된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 제2의 성장발판 마련을 위해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해 국내 제약사 R&D 규모는 약 3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고, 파이프라인 개수 역시 같은 기간 10% 이상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산업계는 여러 위기와 어려움을 극복해나가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번 세미나를 통해 약가 정책을 비롯한 산업 육성 로드맵을 짚어보고, 제약바이오 산업이 나아갈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