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와 제약바이오 업체가 만난 자리에서 나온 말이다. 정부가 제약바이오 업계 애로사항을 모두 파악할 수 없기에, 업계에서 구체적인 개선안을 얘기하는 게 정책 등 변화를 끌어낼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정부 관계자 A씨는 해당 사안을 자세하게 알고 있는 업계가 정부에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무리 좋은 제안이라도 업계 주장만 펼친다면, 제도 개선 등 변화가 나타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업체에서 뭔가 해결해달라고 얘기하는데, 정부에서 처음 확인하는 내용이거나 업계만 아는 것인 경우에 처리하기 어렵다"면서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선) 회사에서 어느 정도는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예를 들어, 어떤 제품을 개발하려는 데 기존 제도가 맞지 않는다면, 이렇게 바꿔 달라고 구체적으로 전달하는 게 좋다"며 "그냥 이걸 어떻게든 해결해달라고 말하면, 정부도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덧붙였다.
정책 변화를 바라는 업계가 이전과 다르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는 얘기가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근무하고 있는 관계자 B씨는 최근 기자와 만나 관련 내용을 이야기한 바 있다.
고위직 공무원으로 퇴임한 B씨는 "업계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이런 점이 불편하다', '저런 게 바꼈으면 좋겠다' 등 어려움을 토로하는데, 이건 업계가 원하는 걸 얻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업계가 어떤 정책을 원하는 경우, '어떻게 하면 정부가 해당 정책을 추진하도록 만들 수 있을까'. '정책 변화 속도를 높이기 위해선 업계에서 어떤 대안을 제시하는 게 좋을까' 등 전략적 움직임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부 관계자, 고위직 공무원 출신으로 제약바이오 업계에 종사하고 있는 관계자 사이에서 이런 얘기가 나오는 상황은 업계가 원하는 걸 얻기 위해 상호주관적으로 관련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는 걸 보여준다.
제약바이오 업계가 주도적으로 움직여 정부 제도 개선 등 변화를 끌어낼 수 있을지, 아니면 기존 방식을 고수하며 어려움을 토로하는 상황에 머무를지 눈여겨볼 대목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