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과대학 총장들이 긴급 온라인 회의를 통해 의대생들의 집단 휴학계를 반려하기로 합의했다. 총장들은 의대생이 이달 말까지 복귀하지 않을 경우,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할 방침이다. 앞서 교육부도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대규모 휴학 신청을 승인하지 말 것을 각 대학에 당부한 것으로 알려진다.
교육부는 의대학장들과 총장들의 건의를 받아들여 이달 말까지 의대생 전원 복귀를 조건으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2000명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동결하고, 미복귀시에는 증원된 5058명을 뽑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교수들은 총장들과 학장들이 학생들의 복귀를 이처럼 강하게 요구하는 배경에는 교육 환경의 한계를 우려한 결정이었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A의대 교수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 통화에서 "학교에서는 휴학계를 받아줄 수 없다는 결정을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라면서도 "총장과 학장들의 복귀 결정에 대한 속내는 다를 수 있다. 총장단은 증원 결정에 찬성했었기에 복귀를 요청한 부분을 순수하게 학생들의 학업을 위한 의미였는지는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학장단은 더 이상의 학업 파행을 막기 위해 학생들이 복귀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하다고 본다. 현 상황이 1년 더 지속된다고 하면 올해도 교육 파행이 예상되지만 내년에는 24·25학번에 26학번까지 겹치게 된다. 교육현장에서 수용할 수가 없는 인원이다. 학장들은 이러한 관점에서 복귀하라는 것으로 보여진다"고 해석했다.
학칙에 따른 강경한 방침이 오히려 학생들의 휴학 지속 의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B의대 교수는 "학칙에 따라 엄정하게 대처하겠다는 것이 학생들 입장에서는 협박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학생들의 휴학의지가 꺾이진 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이 같은 자극은 휴학을 고수하도록 부채질해 장기화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총장들이 예고한 강경한 조치를 실제로 실행함으로써 학생복귀를 유도할 것이라는 예상까지 확인된다. 학교 측이 학생들의 자발적 복귀 가능성을 낮게 보고 제적인원이 일정 비율 이하일 경우, 제적 및 유급 조치를 단행해 전원복귀를 유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C의대 교수는 "명분이 있다면, 돌아올 수도 있겠지만 현재로선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돌아오진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런 상황에서 학교에서 학칙에 따라 제적하겠다고 했지만 학생들 입장에서는 반신반의할 것이다. 그런데 학교에서는 학칙에 따라 제적 통지는 진행할 것이고 행정 절차를 거치는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는 만큼 일부 학생들이 복귀할 가능성도 있다"고 추측했다.
또 "이 과정을 거치면서 제적 인원이, 예를 들면 80~90%가 된다면 이들 모두를 제적시킬 수는 없을 것이다. 그런데 약 3분의 1 정도가 제적대상이라면, 제적시킬 가능성도 있다. 이 같은 특단의 조치를 통해 학생복귀를 유도할 가능성도 있다"고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