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운데 한국 기업들은 CES 혁신상 363개 중 무려 162개를 수상하는 등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 존재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높은 법적·제도적 진입장벽이 기업의 시장 진입과 확장에 큰 제약으로 작용하며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4일 한국바이오협회가 발표한 '디지털 헬스케어 현황 및 전망' 브리프에 따르면, 최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트렌드는 AI 기반 혁신에서 디지털치료기기에 이르기까지 개인화되고 예측가능하며, 접근 가능한 치료 모델로 변화하고 있다.
올해 CES 디지털헬스 정상회담(Digital Health Summit)에서 주요 현안으로는 ▲차세대 웨어러블 기술 ▲여성건강 솔루션 ▲재생의학 ▲홈 헬스 ▲디지털 치료제 ▲정밀의학 등이 회담 주제로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그 속에서 국내 기업은 CES 혁신상 363개 중 162개를 수상하며, 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디지털 헬스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이와 함께, 국내에서는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보급률 90% 이상, 전 국민 건강보험 기반 보건 의료체제를 갖추고 있어 인공지능, 웨어러블 기술, 의료 빅데이터 분석 등 혁신 기술과 결합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발휘할 수 있는 여건을 갖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적 가능성과 인프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한국바이오협회는 "개인정보보호법, 원격진료 등 법적 규제와 건강보험 의료 수가 적용 문제 등 높은 진입장벽으로 사업 진출이나 성장에 걸림돌이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치료제 기술력 또한 아직 세계 최고 수준과는 간극이 있다는 설명이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지난해 12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발표한 '2024년 보건의료·산업 기술수준조사'를 인용, 2024년 기준 국내 디지털 치료제 기술 수준은 미국(100%) 대비 약 78%로, 기술 격차는 약 3년 차이가 난다고 밝혔다.
다만 이는 2022년 조사와 대비해서는 8%p 상승한 수치로, 2023년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DTx 1~4호의 연이은 허가를 내주며 실제 임상현장 사용 환경이 일부 조성된 것과 관련이 있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보상 정책이 부족해 의료현장에서 디지털 치료제를 적극적으로 쓰기 어렵다"며 기술격차가 발생한 주요 요인으로 정부지원 정책과 정부 규제를 지목했다. 이는 혁신기술이 임상에서 실제로 쓰이기 위해서는 단순한 기술 허가를 넘어, 건강보험 수가 적용이나 처방 체계 등 실질적 사용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국바이오협회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차세대 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산업으로, 국내 기업이 빠르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 수 있는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