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대부분의 의대가 등록·복학 신청을 마감하면서 집단휴학 사태가 마무리될 가능성이 커지는 가운데, 의대 교수들 사이에서는 추가적인 투쟁이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나온다. 명확한 목표나 실행 계획 없이 투쟁을 이어가기 어렵고, 결론이 불분명한 싸움이 장기화되기 힘들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31일 의학계에 따르면, 4월까지 등록 신청기한을 연기한 강원대의대, 전북대의대를 제외한 38개 의대는 교육부의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인 이날 등록을 마감했다.

의대생들의 등록·복학이 이어지면서 일각에서는 1년 이상 끌어온 투쟁의 한계를 인식하고 현실적인 대처를 한 것으로 해석했다. 이로 인해 지속 투쟁 가능성을 희박하게 진단했다.

A의대 교수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복귀 후 다시 수업거부나 투쟁은 어렵다고 본다. 투쟁을 하려면 이유나 목표가 명확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구체적 계획이 있어야 된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이 하나도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속적인 투쟁을 한다면, 이는 끝나지 않을 싸움을 계속하겠다는 것과 같다. 얻고자 하는 결론이 보여야 투쟁을 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그런데 지금의 상황은 답이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리더십에 대한 신뢰성 하락에 대한 목소리도 나온다. 앞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가 '미등록 휴학' 투쟁을 기조로, 복귀하는 대학을 비판했으나 대부분의 의대가 등록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B의대 교수는 "의대협은 미등록 복귀로 투쟁 방향을 잡고 이를 선언했지만 학생들이 복귀하면서 완전히 어긋난 모양새가 됐다. 미등록 투쟁을 밝히기 전에 학생들의 의견을 수렴해 등록 후 투쟁하는 방향으로 이끌어야 했다. 그런데 학생들이 원하는 방향과 다르게 가이드를 하면서 리더십이 현실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인상을 줬다"며 "앞으로 투쟁 방향을 결정하더라도 의대생들이 따라줄지 의구심을 들게 하는 상황이다"고 짚었다.

반면, 학생들이 등록·복학을 진행해 학사 운영이 진행되더라도, 상당수의 학생들은 등록 후 수업 거부나 유급 등의 방법으로 투쟁을 지속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된다.

C의대 교수는 "학생들이 제적에 대한 압박 등으로 인해 등록은 했지만, 수업 거부를 할 것이라고 본다. 아무것도 안하고 수업을 듣는 것은 항복한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유급되는 사례가 나오게 될 것이고, 이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는 무리도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짚었다.

다만, 투쟁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있더라도 학사 운영이 가능할 정도로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도 분명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2026년 의대정원 동결은 진행해야 할 것으로 내다봤다. 만약, 동결되지 않을 경우, 학생들에게 또 다른 투쟁의 불씨를 만들어주는 상황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