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의학계와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전국 40개 의대 중 등록을 거부했던 인제대 의대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사실상 모든 의대가 1학기 등록을 마무리했다.
다만 100% 등록률과는 대조적으로 수업참여도는 3%대로 조사됐다. 이날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서 밝힌 회원 대상 설문에 따르면, 15개 의대 재학생 6571명 중 실제 수업참여자 및 예정자는 254명(3.87%)에 그쳤다.
의대생들의 실제 등록 여부와 발표된 수치가 다를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복귀율 90% 이상, 전원 복귀 등의 보도가 미등록 학생들의 등록을 유도하려는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A의대 교수는 이날 메디파나뉴스와의 통화에서 "언론에서 보도한 복귀율이 실제와 일치하는지 확인되지 않는다. 학교에서도 교수진에게 학생들의 복귀 여부를 정확히 알리지 않고 있다. 본과 수업의 경우 이미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보이지 않으며 실습에도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들이 복학 등록을 하고도 나오지 않는 것인지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복귀율 90% 이상, 전원 복귀 등의 보도가 미등록 학생들에게 불안감을 조성해 등록을 유도하려는 심리적 압박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비판했다.
학생들의 등록 여부와 실제 수업 참여는 별개의 문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제적될 경우 다시 의대에 입학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많은 학생이 등록은 했더라도 수강 신청을 하지 않거나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방식으로 반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B의대 교수는 "학생들이 제적될 경우 다시 의과대학에 들어올 가능성이 100%라고 확신하는 사람이 몇 명이나 될까. 쉽지 않다. 의사를 포기할 수는 없기 때문에 등록은 했다 하더라도 수업을 듣는 것은 또 다른 문제"라며 "수강신청을 하지 않고 수업에 참여하지 않거나 유급을 한다든지 법의 테두리 안에서 자신들이 생각한 바에 대해 투쟁을 이어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아울러 의대 공부의 강도를 고려할 때 현재 상황에서는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하기 어려워 원활한 학사운영에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내놨다.
B의대 교수는 "말을 물가에 데려갈 수는 있어도 물을 먹일 수는 없다는 말처럼 의대는 하루 종일 공부를 해야 따라갈 수 있을 정도로 강도가 세다. 그런데 현 상태에서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겠나. 이런 상황에서 학사운영은 어려울 것"이라고 짚었다.
만약 학사운영이 가능해진다고 하더라도 수업참여 규모를 비롯해 학교마다 교수, 강의실 등 교육인프라 등을 고려해 각 학교에 적합한 수업방식을 채택할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B의대 교수는 "학사 운영은 학교들마다 다를 것이다. 증원이 이뤄지지 않았지만, 휴학 후 복학하는 학생이 있는 학교도 있고 정원이 늘어난 학교도 있다. 또 각 학교마다 프로그램도 다르고 교수 확보 여부, 교육시설 등이 다르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거나 시험을 객관식으로 출제해 전산 처리하거나 각 학교별로 대응능력에 따라 채택하는 방식도 다를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앞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4가지 운영 방안을 제시했지만 대부분의 의대는 각 학교별 여건에 따라 운영 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