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7월 27일(현지 기준) 관세 협상을 타결하며 무역 긴장을 완화했지만, 의약품 관세 적용을 둘러싼 혼선으로 제약업계 비용 부담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30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이번 협상에서 미국은 EU 상호 관세를 기존 30%에서 15%로 낮추고, 자동차 관세도 27.5%에서 15%로 조정하기로 합의했다. 항공기·반도체 장비는 무관세 품목으로 제외돼 큰 무역 분쟁은 피했지만, 의약품 적용 여부에서 해석 차이가 발생했다.

미국은 협상 직후 "의약품은 대상이 아니다"고 밝혔으나, EU는 포함된 것으로 이해했고, 하루 뒤 미국이 "EU 의약품도 15%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정정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전 "의약품 관세를 최대 200%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어 업계는 이번 조치가 향후 추가 관세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번 15% 관세로 제약 산업은 130억~19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떠안을 수 있으며, 완화책이 없다면 상당 부분이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 UBS 매튜 웨스턴(Matthew Weston) 애널리스트는 "영국·스위스와의 협상 과정에서 일부 보호 조치가 마련될 수 있다"고 분석했고, ING 디데릭 스타디그(Diderik Stadig)는 "공식 협정 체결 전까지 불확실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번스타인의 코트니 브린(Courtney Brin)은 기업들이 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의약품 재고 확대', '위탁 연구기관 신규 계약' 등 대응책을 마련 중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사노피는 미국 내 생산을 유지하기 위해 뉴저지 생산시설을 써모피셔에 매각했고, 로슈는 공급 차질을 막기 위해 현지 재고를 늘리고 있다.

의약품은 오랫동안 관세에서 면제돼 왔으며 EU에서 미국으로 가장 많이 수출되는 품목이 의약품으로 의약품이 EU의 미국 수출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미국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의약품 국가안보 조사는 4월 1일부터 최대 270일간 진행되며, 최종 발표가 7월 말 또는 반도체 분야 조사 발표 이후 2주 뒤에 이뤄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는 EU 의약품에 대한 별도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