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현장에서는 수기 처리로 서비스 연속성을 유지하려 애쓰고 있지만, 장애인 활동 지원부터 장기이식 정보까지 국민 일상 곳곳에서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국민의힘 김예지 의원은 지난달 30일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활동지원사와 장애인들의 일상이 이번 사태로 혼란에 빠져 있다"며 체계적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했다.
정부도 복구와 현장 점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사태가 일단락된다 해도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재발 위험을 피하기 어렵다.
이번 화재는 UPS(무정전 전원장치) 리튬이온배터리를 서버와 분리하는 작업 중 발생했다.
안철수 의원은 본인 SNS를 통해 "단순 사고가 아닌, 정부의 안일한 관리와 부실이 낳은 인재"라며, 중앙 집중형 서버와 이중화 미흡이라는 근본적 취약점을 지적했다.
보건의료 분야에서 전산 시스템은 단순한 행정 수단이 아니다. 장애인 지원, 장기이식, 연명의료 등 국민 생명과도 연결되는 서비스가 전산망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때문에 한 곳의 시스템 장애만으로도 국민 안전과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서버 정지로 수많은 사람들이 불편과 불안을 겪는 현실은 우리에게 뼈아픈 경고로, 단순히 '화재 복구'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정부는 데이터 인프라 전반을 점검하고,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망을 구축해야 한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의 디지털 안전망 강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 과제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원정 기자
wjkim@medipana.com
관련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