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크기 설정
기사의 본문 내용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이번 현물 출자를 통해 네옥 바이오는 ABL206 및 ABL209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획득하고, 에이비엘바이오는 네옥 바이오의 신규 발행 전환우선주를 취득했다. 현재 네옥 바이오의 지분은 대표이사 마얀크 간디(Mayank Gandhi) 박사의 지분 4.74%를 포함해 에이비엘바이오가 100% 보유하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지난해 7월 이중항체 ADC를 포함한 차세대 ADC 개발 계획을 본격화하고, 이중항체 ADC의 글로벌 임상 개발을 전담할 미국 법인으로 네옥 바이오를 설립했다. ABL206 및 ABL209는 에이비엘바이오가 개발한 이중항체 ADC 중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른 후보물질로, 올해 연말과 내년 초 미국 임상 1상을 위한 임상시험계획서(IND) 제출이 예정돼 있다.
ABL206 및 ABL209의 비임상 연구와 IND 제출까지는 에이비엘바이오가 진행하며, 이후 임상 1상부터는 네옥 바이오가 전담할 예정이다. 현재 네옥 바이오는 임상 1상 진입을 앞두고, 높은 전문성을 갖춘 현지 임상 전문 기관(CRO)과 협력해 임상 준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는 "ABL206 및 ABL209의 임상 1상 진입 시기가 가까워짐에 따라 이들 파이프라인의 개발 권리를 네옥 바이오에 이전했다. 네옥 바이오는 대표이사인 마얀크 주도 하에 ABL206 및 ABL209의 임상 개발, 글로벌 시장에서의 인수합병, 기업공개 등을 자체적으로 진행해 나갈 예정"이라며 "에이비엘바이오의 차세대 ADC 개발은 지속될 예정이다. 현재 내부에서 이중항체 ADC, 듀얼 페이로드(Dual Payload) ADC 등 새로운 파이프라인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차세대 ADC 시장을 개척해 나갈 에이비엘바이오와 네옥 바이오에 많은 관심과 성원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인환 기자
choiih@medipana.com
관련기사
- 에이비엘바이오, 월드 ADC 샌디에이고 참가
- 에이비엘바이오, 네옥바이오 지분 투자…이중항체 ADC 개발 본격화
- 에이비엘바이오, 4-1BB 단일항체 국내 특허 결정
- 에이비엘바이오, 캡시다 임상 중단에 대안 부상 주목
- 에이비엘바이오, 바이오 유럽 2025 참가… 다양한 글로벌 협력 방안 모색
- 에이비엘바이오 子 네옥바이오, 美 공식 출범… 이중항체 ADC 개발 가속화
- 에이비엘바이오-릴리, 그랩바디 플랫폼 L/O 및 공동 연구개발 계약
- 에이비엘바이오, 릴리와 지분 투자 계약 체결
- ABL, 릴리와 플랫폼 L/O·지분투자에 "BBB 셔틀 확장 본격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