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으로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취급내역을 분석해 ‘2023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국가승인통계)를 발표했다.

2일 식약처는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처방·조제(투약) 현황, 마약류 취급자 수, 마약류 제조·수입·수출 실적 등 국내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과 변화 등 내용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1991만명으로 전년 대비 45만명 증가했다. 의료용 마약류 처방량은 전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2051만개 늘어난 18억9411만개로 집계됐다. 1인당 처방량은 전년 대비 1.1%p(1.1정) 감소했다.

의료용 마약류 처방받은 환자를 연령별로 구분하면, 50대가 21.2%(418만 명)로 가장 많았다. 60대는 19.7%(389만 명)로 뒤를 이었으며, 40대와 30대는 19.7%(388만 명), 12.5%(246만 명)로 나타났다.

효능군별 처방에선 항불안제 처방·조제(투약)량이 9억1824만개(48.5%)로 가장 많았다. 최면진정제와 항뇌전증제 투약량은 2억9879만개(15.8%), 2억3428만개(12.4%)로 집계됐다. 식욕억제제는 지난해 2억2700만개(12%)가 처방·조제됐다.

특히 주요 성분 중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처방량이 전년 대비 28.4%(1만6172개) 늘었다. 지난해 메틸페니데이트 1인당 처방량은 2022년과 유사했으나, 처방환자 증가로 인해 전년 대비 1.3%(3.4정)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펜타닐 패치(마약성 진통제)와 팬터민(식욕억제제)은 지난해 처방받은 환자 수, 처방량, 1인당 처방량이 전년 대비 감소했다.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취급자 수는 2019년 이후 증가세를 이어갔다. 식약처가 발표한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취급자 수는 4만7645개소다.

지난해 마약류를 처방한 실적이 있는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수도 2022년 대비 2552명 늘어 11만4013명으로 집계됐다.

식약처는 마약류 취급자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취급자 교육, 홍보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취급현황을 잘못 보고하거나 보고하지 않은 마약류 취급자에 모바일 메시지 등을 활용해 정확한 보고가 이뤄지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생산량과 수입량은 17억8235만개, 3억3973만개로 전년 대비 2억373만개, 6769만개 늘었다. 같은 기간 의료용 마약류 수출량은 167만개 감소한 1350만개로 집계됐다.

채규한 식약처 마약안전기획관은 “의료용 마약류는 의료현장에서 수술 전 마취나 불안 증상 완화, 암·만성 통증 관리 등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된다”며 “환자에 필요한 의료용 마약류가 오·남용되지 않도록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고 예방과 재활 등 체계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