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제약·바이오 업계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에 더해, 글로벌 시장의 외풍까지 맞물리며 복합적인 긴장 국면에 들어섰다.
시선을 돌리면, 미국에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보호무역주의 복귀를 상징하듯 높은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5%의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번 트럼프 행정부의 발표에서 공중 보건에 필수적인 의약품과 의료 부품은 제외됐지만, 핵심은 ‘방향성’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발표는 단순한 수치 이상을 넘어 자국 내 생산 강화, 해외 의존도 축소, 미국 우선주의의 강화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는 국내 제약기업에게 장기적 관점에서 새로운 무역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국내외로 동시다발적인 충격이 덮쳐오는 지금, 제약·바이오 산업이 외부 변수에 흔들리지 않고 '자기 속도'를 유지하기 위해선, 그 어느 때보다 정부의 현명한 정책 결정과 일관된 지원이 절실하다.
정치가 흔들릴수록 산업정책은 더욱 단단해야 한다. 특히 제약·바이오는 국가 전략산업이자 국민 생명과 직결된 분야로, 단기 성과에 매몰되기보다 장기적 안목과 안정된 투자 기반이 필요하다.
그동안 정부는 바이오를 미래 성장동력으로 내세우며 수차례 육성 의지를 밝혔지만, 현장의 체감도는 그리 높지 않다. R&D 예산 삭감, 불안정한 규제환경, 기술 이전에 대한 실효성 부족 등 업계는 여전히 갈증을 호소한다.
이제 다음 정부는 제약·바이오 산업을 '국가 생존전략'으로 인식하고,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책의 중심을 바로 세워야 한다.
특히 제약·바이오 산업은 국민 건강과 직결되며, 미래 성장동력으로서의 가치 또한 충분하다. 정치적 혼란 속에서도 정부가 방향성을 잃지 않고, 산업계에 대한 신뢰와 일관된 정책을 이어간다면,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은 이 위기를 분명 기회로 바꿔낼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