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2024년 개별재무제표 기준 매출 1133억원, 영업이익 117억원, 순이익 297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0.9%, 영업이익은 34.9% 증가했으며, 순이익은 세 배 가까이 급증했다. 코로나19 여파를 겪은 2020년 이후 매출은 매년 꾸준히 증가해 5년간 약 129% 성장했다.
진양제약의 실적 성장은 순환기계 약물 '크리빅스정' 등을 중심으로 한 전문의약품 매출 증가에 기인했다. 제품군별로 보면 대표 품목인 크리빅스정 등 순환기계 약물은 전년도 291억원 대비 21.6% 성장한 354억원 매출을 기록하며 전체의 31.2%를 차지했다.
'에스졸정' 등 소화기관용약은 139억원으로 전년 대비 18.8% 성장했으며, '아세콜정' 등 중추신경계용약도 129억원으로 22.1% 증가한 수치를 기록했다. 기타 대사성 의약품군은 66.5%의 증가세를 나타내며 134억원에 도달했다. 이 밖에 상품 매출도 42.9% 증가한 100억원을 기록하며 의약 외 품목 비중도 점차 확대되는 모습이다.
진양제약은 이 같은 실적을 바탕으로 생산 설비 고도화에 나선다. 회사는 올해부터 3년간 총 75억원 규모의 설비투자 계획을 확정하고, 원주 공장을 중심으로 ▲생산능력 강화를 위한 기계장치(17억원) ▲시험기기 도입(13억원) ▲GMP 대응 기반시설 구축(45억원) 등을 추진한다. 연간 기준으로는 19억원, 32억원, 24억원씩 분산 투자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 제고 및 수출 확대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연구개발 전략 역시 구체화되고 있다. 진양제약은 기존 주력 품목인 순환계용약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라인업 강화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회사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진양제약은 ▲당뇨병치료제 개량신약 'JY303' ▲소화성궤양용제 'JY304'·'JY401'·'JY403' ▲고지혈증치료제 'JY408'·'JY409' 등 6개 과제를 연구개발 중이다. 이 중 'JY401', 'JY403', 'JY408', 'JY409' 등 4개 과제는 지난해 연구를 시작했으며, 올해 초 JY408 1상을 승인받은 데 이어 지난달에는 JY409 1상을 승인받았다.
다만, 연구개발비 비중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4.53%에 달했던 R&D 비중은 지난해 1.65%로 축소됐다. 지난해 회사가 연구개발비로 사용한 금액은 19억원으로, 금액 자체는 전년 18억원과 비슷했으나, 전체 매출이 증가하면서 비율이 낮아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