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협회 유인상 수가협상단장. 사진=박으뜸 기자

[메디파나뉴스 = 박으뜸 기자] 의정 갈등 여파로 전공의 이탈 등 큰 손실을 입은 병원계는 이번 수가협상에서 일정 수준의 보상이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가 컸다. 그러나 2026년도 요양급여비용 계약을 위한 최종 수가협상 1차를 마친 대한병원협회 수가협상단의 반응은 기대와는 달랐다.

30일 협상 직후 병협 유인상 수가협상단장은 기자들과 만나 "기대감이 있었지만 쉽지 않을 것 같다"며 "공단은 재정을 비롯해 여러 부분에서 어려움을 호소했다"고 밝혔다.

병원계는 특히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한 수련병원에서 전공의 이탈로 인한 인력 공백이 발생했고, 이를 메우기 위해 다양한 직역의 인력을 추가 투입할 수밖에 없었다고 강조했다.

유 단장은 "그에 따라 수당 등 여러 항목에서 금전적 부담이 매우 컸다"고 설명했다.

또한 의료체계가 여전히 안정되지 않았고, 이 같은 상황이 언제까지 이어질지 불확실하다는 점도 위기감을 키우고 있다. 병원들은 지금도 정부의 한시적 지원책 등에 의존하며 근근이 운영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유 단장은 "병원에는 다양한 직능의 인력들이 있다"며 "이들의 노고와 헌신이 협상에 충분히 반영되길 바란다. 그런 점들을 감안해 최선을 다해 협상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