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올해 1분기 바이오헬스산업 제조업체들이 수익성을 회복하고 재무 안정성을 유지했으나, 성장세는 직전 분기보다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 이하 진흥원)이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320개사 1분기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제조업체의 매출액은 14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13조1000억원 대비 7.9% 증가했다. 다만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11.3%에서 7.9%로 3.5%p 하락해 성장세가 둔화됐다. 총자산 증가율 역시 같은 기간 2.9%에서 2.2%로 축소됐다.

산업별로는 의료기기가 매출액 증가율 1.2%에서 2.8%로 소폭 회복하며 반등세를 보였다. 반면 제약은 14.0%에서 8.8%로, 화장품은 10.7%에서 8.7%로 낮아졌다.

총자산 증가율에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의료기기(4.6%→5.1%)와 화장품(4.0%→5.1%)은 전년 동기 대비 확대됐지만, 제약은 2.1%에서 0.7%로 크게 둔화돼 업종별 성장 격차가 확인됐다.

전체 제조업의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8.8%에서 10.7%로 1.9%포인트 상승했고, 세전순이익률도 11.3%에서 12.3%로 올랐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제조업 평균(영업이익률 5.4%→6.2%)보다 높은 수준이다.

제약과 화장품은 수익성이 개선됐다. 제약의 영업이익률은 7.3%에서 10.8%로, 세전순이익률은 7.9%에서 11.6%로 모두 상승했다. 화장품 역시 영업이익률 9.4%에서 11.2%, 세전순이익률은 13.2%에서 17.3%로 크게 개선됐다.

반면 의료기기는 영업이익률이 13.6%에서 9.4%로, 세전순이익률은 21.6%에서 6.8%로 하락해 수익성 악화가 두드러졌다.

재무 안정성 지표는 큰 변동 없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전체 부채비율은 37.8%에서 38.6%로 소폭 상승했으며, 차입금 의존도는 10.4%에서 10.2%로 낮아졌다.

업종별로는 제약이 부채비율 41.5%에서 41.4%로 소폭 완화됐고, 차입금 의존도도 12.0%에서 11.8%로 줄었다. 의료기기는 부채비율이 36.2%에서 37.7%로 상승했으며, 차입금 의존도는 9.3%에서 8.7%로 소폭 완화됐다. 화장품은 부채비율이 26.3%에서 29.8%로 확대됐고, 차입금 의존도도 5.2%에서 5.6%로 증가했다.

진흥원은 보고서를 통해 "바이오헬스 제조업체들이 지난 1분기 전체적으로 수익성을 회복하며 재무 건전성을 유지했으나 성장 흐름에는 소폭 조정이 있었다"고 밝혔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