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문근영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필수약을 주문생산하는 제약회사에 인센티브를 부여할 예정이다. 제약업계는 식약처가 구성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에 유통기업이 참여하며 필수약 공급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식약처는 해당 네트워크를 의료·약업단체까지 참여하는 방향으로 이끌 계획이다.

30일 식약처 의약품안전국 의약품관리지원팀 관계자는 식약처 출입 전문지 기자단과 질의응답에서 "국가필수의약품 주문생산에 참여하는 제약기업을 대상으로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는 행정지원을 제외하고 제약업체가 받는 별도 인센티브가 없다"며 "필수약 주문생산 규모 확대를 위해 향후 간담회를 열어 구체적으로 지원이 필요한 사항 및 인센티브에 대해 본격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식약처가 최근 구성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활용해 필수약 수급 불안정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는 식약처가 국정과제 '국가필수의약품 공급 안정화·지원'을 이행하기 위해 만든 민관 상설 협의체다.

정부 자료에 따르면, 해당 협의체는 식약처·한국희귀필수의약품센터를 비롯해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필수약을 주문생산하고 있는 업체 및 희망 기업 등 제약업계와 한국의약품유통협회 등 유통업계가 참여하는 구조를 이뤘다.

이와 관련, 식약처 관계자는 "2016년부터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제도'를 통해 정부 주도로 필수약을 공급했는데, 필수약 주문생산을 희망하는 업체를 탐색하고 협의하는 과정에서 소통 창구가 없어 제도 활성화에 한계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로 이 문제를 해결키로 했다"며 보건복지부가 주도한 '품절의약품 수급 안정을 위한 민관 협의체'와 달리 필수약 주문생산 확대에 초점을 맞췄다고 부연했다.

또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가 기존 민관 협의체와 다른 점은 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유통업체들이 참여한다는 데 있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필수약 수급 불안정 해소 과정에서 유통업계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봤다.

해당 관계자는 "일부 제약사들이 필수의약품 주문생산 제도에 참여해 시설을 정비하고 제품을 생산하더라도 유통 과정에 선뜻 나서는 업체가 없었기에, 식약처가 그간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필수약을 생산하고 공공입찰에 나서도 환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중간 단계인 유통에서 협조가 되지 않았다"며 "이번에 유통업계 의사결정 주체들이 네트워크 구성 당사자로 포함된 건 유통 과정까지 포괄해 필수약 공급망 전주기를 관리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를 필수약 사용단계(의료·약업계)까지 확장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식약처 관계자는 "우선 제조·유통업계 중심으로 필수의약품 공공생산·유통네트워크를 구성해 국내 미공급 필수의약품 허가 획득과 원활한 생산·유통에 필요한 제반 여건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장기적으로 의약품 공급망 전주기 끝단인 사용단계에 위치한 의료·약업단체가 참여하는 공공생산·유통 네트워크 구성을 완비하겠다"며 "현장수요·공급관리 등 사항을 통합적으로 논의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