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파나뉴스 = 김원정 기자] '일반의약품 활성화포럼 국회토론회'에서 국민의 자가 건강관리 강화와 의료비 절감을 위해 일반의약품 품목 확대가 필요하다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
특히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일반의약품 사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재분류는 10년 넘게 이뤄지지 않아 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는 지적했다. 아울러 일반의약품 접근성을 높이는 과정에서 안전성 확보와 약사의 전문적 관리가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5일 국회 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일반의약품 활성화포럼 국회토론회'가 더불어민주당 이개호·김윤 의원 주최로, (주)지구촌보건복지와 (사)건강소비자연대의 주관으로 열렸다.
김윤 의원은 환영사에서 "국민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이 일반의약품"이라며 "고령화와 만성질환의 증가로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정부가 2012년 이후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재분류를 하지 않아 일반의약품 비중이 줄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재분류가 상시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지구촌보건복지 전혜숙 대표는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의 구분이 재정비돼야 한다"며 "일반의약품을 편의점이나 창고형약국에서 자유롭게 구입하는 형태가 아니라, 약사의 관리 아래 국민이 안전하게 복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대표는 "일반의약품은 오·남용 우려가 적고, 처방 없이도 안전성과 유효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약품"이라며 "국민의 건강한 삶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의약품 광고 심의 건수가 2020년 2157건에서 지난해 9651건으로 급증한 것은 국민의 관심이 커졌다는 증거"라며 "협회와 산업계도 안전한 일반의약품 사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한약사회 권영희 회장은 "2만5600개의 약국이 전국 구석구석에 위치해 있다. 이처럼 접근성이 뛰어난 약국은 건강과 관련된 상담과 의약품 복약 지도를 받을 수 있는 필수 보건의료기관으로, 특히 일반의약품은 국민이 약사의 상담을 통해 가벼운 증상이나 일상적인 질환, 건강관리를 스스로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첫 번째 선택지"라고 강조했다.
이어 "일반의약품 활성화는 약국 인프라를 활용한 국민 건강관리체계의 강화, 의료비 절감, 이를 통한 약사의 사회적 가치에 기여하는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진 모두 발언에서 이의경 한국에프디시규제과학회 회장은 "한국이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만성 질환자가 급증하면서 국민 스스로도 셀프케어의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인 의료비 지출 구조를 만드는 데 일반의약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일반의약품 시장은 제도적 제약, 시장에 대한 매력도가 낮아져서 많이 정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의약분업 이후에 일반의약품 시장은 많이 축소됐다. 따라서 소비자는 선택의 폭이 좁아졌고 제약사는 새로운 제품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듣고 있다. 또 약국의 전문적인 역할도 충분히 발휘되지 못하고 있는 게 오늘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은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공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산업계, 소비자, 정부가 함께 머리를 맞대야 할 시점"이라며 "일반의약품 활성화와 안전성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며, 국민 수요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합리적으로 범위를 확대하는 동시에 오남용을 방지하고 적정 사용을 유도하는 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한미약품, 유소아 해열진통제 '써스펜키즈시럽' 출시
- [주.사.기] 세대 바뀌어도 의약품 사업 명맥 잇는 유유제약
- [국감] 농어촌 '무약촌' 심각…안전상비약제도 개선 필요성 제기
- 코스닥 상장 삼익제약, '3연상'…사흘 새 주가 42% 증가
- 한지아 의원, '제약바이오산업 경쟁력 확보법' 대표 발의
- [국감] 의약품 중단·품절 속수무책‥"공단 합의서론 제재 불가"
- [국감] 한의원, 전문의약품 불법 사용 '여전'…PDRN 주사제까지
- "의료비 절감·제약산업 성장 위해선 'OTC 활성화' 필요"
- 식약처, 일반약·복합제 규제 변화 추진…업계는 화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