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제약 사옥. 사진=최인환 기자

[메디파나뉴스 = 최인환 기자] 진양제약 창업주 최윤환 회장이 보유지분을 확대하며 책임경영 행보를 구체화하고 있다. 경영 복귀 이후 처음으로 이뤄진 직접 지분 확보 사례로, 책임경영 의지와 자기주식 운용 방식 변화가 병행됐다.

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진양제약은 지난 2일 자기주식 32만주를 최윤환 회장에게 주당 6400원에 장외처분했다. 총 거래금액은 약 20억원이며, 처분은 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대표이사 개인 명의 계좌로 이체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시장 매도나 시간외대량매매는 아니며, 일반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유통도 포함되지 않는다.

이번 자기주식 인수는 최윤환 회장이 경영에 복귀한 이후 이뤄진 첫 보통주 직접 지분 확대 사례다. 그는 2023년 3월 각자대표 체제로 복귀한 데 이어, 올해 3월 정기주총에서 3년 임기의 사내이사로 재선임됐다. 이에 따라 91세까지 대표이사직을 유지하게 된다.

최 회장은 이번 장외거래 이전까지 보통주 5만9000주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번 인수로 37만9000주(지분율 2.91%)로 보유량이 증가했다. 여기에 지난 6월 16일 인수한 전환사채(CB)를 통해 확보한 17만1690주의 전환권을 포함하면 총 보유 주식 수는 55만690주에 이른다. 해당 전환사채는 지난해 5월 27일 전환가액이 6319원에서 5242원으로 하향 조정된 이후 행사됐으며, 전환권 단가는 5242원으로 책정됐다.

회사는 이번 자기주식 처분에 대해 공시를 통해 “기업운영자금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대표이사의 책임경영 실천 및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최윤환 회장에게 자기주식을 처분했다고 설명했다. 자기주식 장외 처분 방식은 내부 특수관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비시장 거래로, 유통주식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며 주식가치 희석효과도 없다고 밝혔다.

처분 전 진양제약은 총 122만4391주의 자기주식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 중 약 82만주는 신탁계약을 통해 관리되고 있었다. 이번 처분 이후 회사의 자기주식 보유량은 90만4391주로 줄었으며, 전체 발행주식(1303만9379주) 대비 6.94% 수준이다.

최윤환 회장은 진양제약의 창업주로, 2007년 한 차례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가 2011년 3월 각자대표로 복귀한 바 있다. 그러나 같은 해 7월 일신상의 사유로 다시 사임했으며, 2023년 3월 약 12년 만에 다시 대표이사직을 맡았다. 현재는 장남 최재준 사장과 함께 각자대표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경영 승계는 이미 완료된 상태다. 2008년 최윤환 회장은 장남 최재준 사장에게 최대주주 지위를 넘긴 바 있으며, 그 이후 대표이사직만 간헐적으로 맡아왔다. 이번 자기주식 인수는 오너일가 내 지분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이사회 결정에 따른 자기주식 활용 사례로 볼 수 있다.

한편, 진양제약은 지난해 개별 기준 매출 1133억원을 기록하며 연간 매출 1000억원대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최근 5년간 안정적인 외형 성장을 이어가는 가운데, 책임경영 차원의 이사회 결정을 통해 자기주식이 활용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25 메디파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