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메디파나뉴스가 공시 자료를 확인한 결과,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78곳 올해 상반기 이자보상배율 평균은 9.47배로 전년 동기 6.56배 대비 상승했다.
78곳 올해 상반기 이자비용 합계가 12.45%(263억원) 증가하는 동안 영업이익 합계가 62.41%(8654억원) 늘면서, 같은 기간 이자보상배율에서 변화가 나타났다.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77곳(무차입 경영이 이어진 '하나제약' 제외) 가운데 48.05%(37곳)는 올해 상반기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하며 이런 변화를 견인했다. 37곳 중에서 19곳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늘리며 이자보상배율을 높였다.
19곳 가운데 휴젤·동국제약·삼성바이오로직스·대봉엘에스·SK바이오팜·셀트리온·국제약품·동국생명과학·일동제약·이수앱지스 등 13곳은 이자비용을 낮추고 영업이익을 늘리면서 이자보상배율을 높였다.
나머지 6곳(유바이오로직스·유한양행·안국약품·GC녹십자·일양약품·진양제약)에선 올해 상반기 이자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늘면서 이자보상배율 상승이 나타났다.
또한 37곳 가운데 9곳은 올해 상반기에 영업흑자로 돌아서며 같은 기간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했다. 공시 자료에 따르면, 9곳 중에서 바이넥스·신풍제약·에이비엘바이오 등 3곳은 이자비용이 증가했고 나머지 6곳은 이자비용이 줄었다.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한 기업 중에선 영업이익이 감소한 업체도 있다. 한국유나이티드제약·옵투스제약·한미약품·보령·신신제약·위더스제약 등 6곳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줄었으나, 이자비용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하며 이자보상배율이 높아졌다.
아울러 지난해 상반기 무차입 경영을 보여준 대한약품은 올해 상반기에 영업이익이 줄고 이자비용이 생겼으나, 이자보상배율이 다른 기업보다 높았다.
16곳, 이자비용 줄었지만 영업익 더 큰 폭으로 감소…이자비용·영업익 모두 증가한 기업 있어
이와 달리, 국내 상장 제약·바이오 기업 39곳은 올해 상반기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하지 못했다. 39곳 가운데 4곳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늘렸으나, 이자비용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이자보상배율이 낮아졌다.
39곳 중에서 16곳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이 줄면서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했다. 해당 기업은 이자비용을 줄였지만 영업이익이 더 큰 폭으로 감소했거나, 이자비용이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같은 기간 국전약품·한독·삼일제약·CMG제약·비보존제약·화일약품·이연제약·삼천당제약 등 8곳은 지난해 상반기 영업흑자에서 올해 상반기 영업적자로 돌아서며, 이자보상배율이 하락했다.
영업적자가 커지며 이자보상배율을 개선하지 못한 기업도 있다. 특히 SK바이오사이언스·삼성제약·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동성제약·조아제약·메디포스트 등 6곳은 영업적자와 이자비용이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