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오경제연구센터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지난 8월 31일, 국가 바이오기술 정책 ‘BioE3(Biotechnology for Economy, Environment and Employment)’의 일환으로 전국에 16개의 바이오제조 허브를 설립하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출범한 BioE3 정책은 바이오기술을 인도 경제의 성장축으로 삼겠다는 전략으로, 시행 1년 만에 인도의 바이오경제는 2014년 100억달러에서 2024년 1657억달러 규모로 커졌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30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새롭게 추진되는 16개 허브는 활성의약품원료(API), 바이오연료용 효소, 바이오비료 제조 시약 등 그동안 수입 의존도가 높았던 품목의 국산화를 지원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우선적으로 1000개 생산 대상 품목을 발굴했으며, 관련 리스트는 웹사이트에 게시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허브 설립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본격화된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정책과 연계돼 발효 기반 의약품 및 바이오연료 분야 확충을 목표로 한다. 약 500~1000리터 규모의 발효기를 설치해 단클론 항체 치료제, 탄소포집 신기술, 스마트 단백질 등 차세대 바이오 혁신 제품의 스케일업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러한 허브는 초기 자본력이 부족한 신생 기업과 중소기업에게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연구기관, 민간기업, 대학, 스타트업 등 다양한 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운영된다"고 설명했다. 또, 허브 사용료는 스타트업에는 실제 비용 대비 최대 5%, 기타 기업에는 최대 15%를 부과하는 방식으로 책정되며, 시설이 지적재산권을 주장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