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메디파나뉴스가 주요 상장 제약사 반기보고서에 기재된 자사주 보유분을 이날 종가 기준으로 확인한 결과 33곳이 100억원 이상 자사주를 보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주 규모가 가장 큰 곳은 셀트리온이다. 발행주식 대비 4.61%에 해당하는 106만주를 보유, 이날 종가 16만9000원 기준 평가액은 1조7986억원이다.
2위는 유한양행이다. 7.57%에 해당하는 614만주를 보유하고 있고, 종가 11만9000원 기준 평가액은 7307억원 규모다.
휴젤의 경우 자사주 보유비율이 12.25%로 151만주를 보유 중이다. 종가 33만2000원 기준 평가액은 5003억원이다.
제약 지주사인 대웅은 자사주 보유비율이 29.7%로, 1725만주를 보유 중이다. 종가 2만4400원 기준 평가액은 4209억원이다.
일성아이에스는 자사주 보유비율이 48.75%로 주요 상장 제약사 가운데 가장 높다. 648만주를 보유해 종가 2만4700원 대비 평가액은 1602억원이다.
이들 상위 5개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가 3조6107억원으로, 100억원 이상을 보유한 33개 회사 4조4259억원에서 81.58%에 해당한다.
광동제약의 경우 일성아이에스 다음으로 높은 자사주 보유비율을 보인다. 25.1%에 해당하는 1314만주를 보유 중이다. 종가 6070원 기준 평가액은 798억원이다.
녹십자홀딩스의 경우 자사주 보유비율이 8.4%로 414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종가 1만5290원 기준 평가액은 633억원이다.
휴메딕스는 자사주 보유비율 7.74%로 87만주를 보유 중이다. 종가 6만2400원 기준 평가액은 543억원이다.
종근당은 자사주 보유비율 4.5%로 63만주를 보유하고 있다. 종가 8만1200원 기준 평가액은 509억원이다.
이날 종가 기준 자사주 평가액이 400억원 이상인 기업은 신풍제약이 7.11%로 491억원, 한올바이오파마가 2.84%로 475억원, 삼천당제약이 0.85%로 400억원, 한미약품이 1.02%로 400억원 등이다.
300억원 이상 기업은 녹십자(2.34%, 358억원), 한국유나이티드제약(9.9%, 324억원), 삼진제약(11.81%, 312억원), 리가켐바이오(0.54%, 302억원) 등이다.
이어 한미사이언스(1%, 266억원), 환인제약(12.54%, 245억원), 현대약품(18.33%, 233억원), 현대약품(18.33%, 233억원), 경동제약(12.44%, 227억원) 등이 200억원 이상이다.
JW중외제약, JW홀딩스, 대화제약, 지씨셀, 일양약품, 바이넥스, 셀트리온제약, 안국약품, 종근당홀딩스, 대웅제약, 보령, 휴온스 등은 종가 기준 평가액 100억원 이상 자사주를 보유한 상태다.
자사주 보유비율로 보면 일성아이에스가 48.75%로 가장 높았고, 대웅이 29.7%로 두 번째, 광동제약이 25.1%로 세 번째로 높았다. 이어 현대약품(18.33%), 안국약품(12.86%), 환인제약(12.54%), 경동제약 (12.44%), 휴젤 (12.25%) 등이 두 자릿수 자사주 보유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상법 3차 개정안으로 불리는 자사주 소각 의무화 입법을 정기국회 내 처리한다는 의지를 표명한 상태다.
더불어민주당과 조국혁신당 등에서 발의한 자사주 소각 의무화를 담은 상법 개정안은 모두 4건이다. 각 개정안이 정한 소각 기한은 취득일 기준 ▲즉시 ▲6개월 이내 ▲1년 이내 ▲자사주 보유비율 3% 미만은 2년 이내 등이다.
기존 보유분의 경우도 6개월에서 1년 이내 소각하도록 하며, 차규근 의원안의 경우에만 5년 이내로 정하고 있다. 임직원 보상 등 사유가 있을 경우 기한을 넘겨 보유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있지만, 주주총회 승인을 얻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대주주 의결권은 3%로 제한된다. 개정안 시행일은 대부분 공포 후 6개월 이후로 정하고 있다.
- 자사주 소각-활용, 상법 개정 앞둔 제약업계 '고심'
- '자사주 경영' 막는 충실의무+소각 의무화…제약계 대응 주목
- 셀트리온, 1000억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올해 총 9000억원 규모
- 종근당홀딩스, 이율 0% 자사주 EB로 단기차입금 상환
- 자사주 EB 러시 제동…금감원, 공시 기준 강화
- 금감원 자사주 EB 견제에도 제약업계 강행 조짐
- 종근당 오너 3세 이주원 이사, 지주사 지배력 강화 눈길
- 금감원 견제 속 바이넥스도 자사주 EB 도전…성공 여부 주목
- '자사주 교환사채' 견제 속 성공사례 등장…바이넥스 6일 주목
- 자사주 처분 시작한 삼진제약, '제휴 전략' 활용…지분 안정성 확대
- 광동제약, 자사주 활용법 '재단 출연'…가산문화재단 주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