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버크 궤양성대장염·크론병 보험급여 1주년 심포지엄 성료
한국애브비(대표이사 강소영)는 지난 4월 28일 서울 신라호텔에서 JAK1 선택적 억제제 린버크(성분명 유파다시티닙)의 궤양성대장염·크론병 보험급여 1주년을 기념해 진행된 'One & Only-Leading The Future of IBD 심포지엄'을 성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심포지엄은 궤양성대장염, 크론병 질환에 대한 최신 치료 지견을 공유하고, 린버크의 임상적 유용성과 가치를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소화기내과 전문의 1000여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한 이번 심포지엄은 서울아산병원 소화기
조해진 기자25.05.19 11:28
'트렘피어' 피하 도입요법 궤양성대장염 효과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존슨앤존슨(J&J)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트렘피어'(Tremfya, guselkumab)가 궤양성 대장염 치료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3상 임상결과가 공개됐다. J&J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2025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CCO)에서 3상 임상결과를 공개하고 트렘피어 피하 도입요법이 위약그룹에 비해 임상적 및 내시경적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12주에 걸쳐 실시된 이 시험에서는 트렘피어 400mg 피하 도입요법을 받은 환자에서
이정희 기자25.02.24 10:04
분당서울대병원, 흡연 시작연령과 궤양성대장염 발병률 입증
분당서울대병원은 소화기내과 윤혁·전유경 교수팀이 '낮은 흡연 시작 연령이 염증성 장질환의 일종인 궤양성 대장염의 주요 위험 요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18일 밝혔다. 염증성 장질환은 장에 만성적인 염증이 발생하며 설사와 혈변, 피로, 체중감소 등을 지속적으로 겪는 난치성 질환으로,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다.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등으로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발병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중 궤양성 대장염은 주로 대장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소화관 어디든 발생하는 크론병보다는
이정수 기자25.02.18 12:45
'트렘피어' 궤양성대장염 피하주사 도입요법 FDA 신청
J&J [메디파나 뉴스 = 이정희 기자] 존슨앤존슨(J&J)은 22일 중등도~중증 활동성 궤양성대장염 성인환자 치료에 '트렘피어'(Tremfya, guselkumab) 피하주사 도입요법을 승인하는 생물학적제제 허가신청서(sBLA)를 제출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승인을 뒷받침한 3상 임상시험(ASTRO 시험)에서는 1차 평가항목을 달성하고 0주와 4주, 8주에 400mg의 트렘피어 피하주사 도입용량을 투여한 경우 12주째 임상적 관해에서 통계학적으로나 임상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내시경적 개선과 조직학적-내시경적
이정희 기자24.11.25 08:42
궤양성대장염·크론병 치료 신흥 강자 '린버크'
약력(略歷)은 사전적 의미로 '간략하게 적은 이력'을 뜻합니다. 하지만 이 글을 보시는 독자들께선 약력(藥力)으로도 해석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제약·바이오에 관심이 많으신 독자 여러분들이니까요. 실제 오랜 시간과 비용이 투입돼 개발된 약은 유효성·안전성, 임상연구, 마케팅 전략 등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힘(力)'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너의 약력(藥力)은' 코너에서는 스테디셀러 약부터 신약까지 국내외 시장에서 주목 받은 치료제들의 약력(略歷)을 쉽게 전달하고자 합니다. 영어로도 약력은
최성훈 기자24.11.01 05:58
메디파나 핫 클릭 기사
1
[제약공시 책갈피] 10월 1주차 - 한미약품·보령·유한양행 外
2
고혈압 저용량 복합제 트렌드, 개원가 보수적 접근
3
[진단] '성장클리닉' 쏠림…부모 불안·의사 탈출이 만든 풍경
4
출범 앞둔 의료혁신委…일각선 "보여주기식 그칠까 우려"
5
알리코제약, 3Q 생동 승인 최다…국내외서 제네릭 R&D 박차
6
광동제약, 자기주식 373만주 220억 처분 결정…941만주 남아
7
한미 플랫폼 기술 적용된 '엔서퀴다', 길리어드에 기술수출
8
환인제약 이원범 대표, 내달 최대주주 올라선다
9
국회-제약업계 긴급회동…미국 藥 관세 '불확실성' 해소 당부
10
보령, 사노피 유방암 치료제 '탁소텔' 19개국 권리 인수
독자들이 남긴 뉴스 댓글